경제·금융 경제동향

수입물가도 고공행진...2년來 최고

원달러 환율·유가 상승 영향에

수출입물가지수 4개월째 올라

국내 물가상승세 확대 가능성



국제유가와 원·달러 환율 상승의 영향으로 지난해 12월 수출입물가가 넉 달째 올라 2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수입물가 상승은 시차를 두고 국내 소비자물가에 반영되는 만큼 향후 국내 물가 상승세도 확대될 가능성이 높다.

한국은행이 11일 발표한 ‘2016년 12월 수출입물가지수’를 보면 지난해 12월 수출물가지수(2010=100·원화 기준) 잠정치는 전월(83.74)보다 2.9% 상승한 96.13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9월부터 넉 달 연속 오름세를 보인 수출물가지수는 2014년 12월(86.31) 이후 2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까지 올라섰다.


수출물가 상승은 원·달러 환율이 오른데다 전기 및 전자기기 수출가격이 상승한 영향으로 보인다. 원·달러 평균 환율은 지난해 11월 달러당 1,161원64전에서 12월 1,182원28전으로 1.8% 올랐다.

관련기사



품목별로는 농림수산품이 전월과 같았고 공산품은 2.9% 올랐다. 공산품 중에서는 석탄 및 석유제품이 12.1%나 급등했고 화학제품 3.1%, 전기 및 전자기기는 2.7% 상승했다. 수출품목 중에서는 벙커C유가 20.3%나 올랐다. 이 밖에 TV용 LCD는 5.1%, D램은 2.3% 상승했다.

수입물가도 4개월째 상승세가 이어지면서 2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지난해 12월 수입물가지수는 83.14로 11월보다 4.2% 상승했다. 수입물가 상승엔 원·달러 상승 외에 국제유가 상승 영향도 컸다. 두바이유의 월평균 가격은 지난해 11월 배럴당 43.90달러에서 12월 52.08달러로 18.6% 올랐다.

원재료가 광산품(13.2%)을 중심으로 전월 대비 11.6% 올랐고 석탄 및 석유제품은 10.6% 상승했다. 자본재가 0.4% 하락한 반면 소비재는 0.9% 올랐다.

김상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