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한미동맹은 '찰떡 공조' 사드배치 변함없이 추진"

김관진·플린 내정자 의견 모아

김관진 청와대 국가안보실장과 도널드 트럼프 차기 행정부의 마이클 플린 국가안보보좌관 내정자는 지난 9일(현지시간)워싱턴에서 만나 북한의 핵을 절대 용납할 수 없다는 데 의견을 같이하고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포대의 차질 없는 한반도 배치를 위한 공조도 강화하기로 했다. /사진제공=주미대사관김관진 청와대 국가안보실장과 도널드 트럼프 차기 행정부의 마이클 플린 국가안보보좌관 내정자는 지난 9일(현지시간)워싱턴에서 만나 북한의 핵을 절대 용납할 수 없다는 데 의견을 같이하고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포대의 차질 없는 한반도 배치를 위한 공조도 강화하기로 했다. /사진제공=주미대사관




미국을 방문 중인 김관진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은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 당선인 측의 마이클 플린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 내정자를 만나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배치를 변함없이 추진해나가야 한다”는 데 뜻을 모았다고 밝혔다. 플린 내정자는 특히 ‘찰떡(sticky rice cake) 공조’라는 표현을 쓰며 한미동맹 강화 의지를 피력했다고 김 실장은 전했다.


김 실장은 10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에서 한국 특파원들과 만나 플린 내정자와의 회동 결과를 전하며 이같이 말했다.

관련기사



김 실장은 “북한 핵을 결코 용인할 수 없으며 강력하고 실효적인 제재와 압박을 통해 북한이 비핵화의 길로 나오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빈틈없는 한미 공조를 지속해나가자는 데 의견을 함께했다”고 밝혔다. 특히 플린 내정자는 국제사회의 대북 제재 이행 문제에 대해 “제재를 회피하거나 위반하는 어떤 행위도 용납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고 김 실장은 전했다.

두 사람의 대화 내용 중 가장 중요한 것은 트럼프 행정부가 들어서도 사드 포대 한국 배치는 변함없이 추진하겠다는 미국 측의 뜻이 재확인된 점이다. 김 실장은 “플린 내정자는 미국도 사드 배치의 정당성에 대해 중국에 더 얘기할 것이라고 말했다”면서 “사드는 자주권에 해당하는 문제인 만큼 중국이 반대하더라도 (한미 양국은) 상관하지 않을 것이다. 합의된 대로 배치한다는 데 의견 일치를 봤고 계획대로 갈 것”이라고 단언했다.

1시간가량 진행된 두 사람의 이번 만남은 트럼프 신행정부와의 안보 관련 협의 채널을 구축하기 위한 차원에서 추진됐다. 김 실장은 “트럼프 정부 들어서도 양국 간 소통 체제를 유지해야 한다는 데 의견 일치를 봤다”면서 “탄핵 정국에서도 국가를 지키기 위한 안보 체계는 가동되고 있다”고 말했다.

맹준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