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해외 행동주의 투자자, 한국 등 아시아기업 집중 겨냥

한경연 분석. 공격 당한 亞기업은 83개로 1년새 5배 늘어

우리나라를 포함한 아시아 기업들이 최근 경영에 적극적으로 개입해 단기간 내 수익을 챙기는 ‘행동주의 투자자’의 공격을 많이 받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경제연구원은 15일 ‘행동주의 투자자의 아시아 기업 공격과 대응방안’ 보고서에서 “아시아 기업이 행동주의 투자자의 주요 공격 표적이 되고 있다”고 밝혔다.


행동주의 투자자는 경영이 어렵거나 지배구조가 취약한 기업에 투자해 일정 지분을 확보한 뒤 구조조정을 강하게 압박해 단기간 내 주가를 끌어올림으로써 수익을 올린다.

보고서에 따르면 행동주의 투자자의 공격을 당한 기업은 2014년 344개에서 2015년 551개를 기록해 1.6배로 증가했다.

이 중 아시아 기업은 2014년 17개에서 2015년 83개로, 1년 사이에 약 5배로 늘었다. 황재원 한경연 부연구위원은 “행동주의 투자자들은 기본적으로 저평가된 기업을 공격하기 때문에 미국 등에 비해 저평가된 아시아 기업들이 공격 대상이 되기 쉽다”고 말했다.


또 최근 아시아에서 기업들이 행동주의 투자자의 요구를 수용하는 비율이 높아진 점도 공격이 늘어난 이유로 분석했다.

관련기사



2015년 아시아 기업에 대한 헤지펀드의 성공률은 전년 대비 17.1% 증가했는데 이는 미국(3%)과 영국(6.9%)보다 높았다.

과거 사례를 보면 행동주의 투자자들은 주로 보수적인 기업문화 때문에 현금 보유량이 높은 기업을 표적 삼아 배당 확대나 자사주 매각 등 주주환원정책을 요구했다.

또 ‘지배구조 개선’이라는 여론전으로 낮은 대주주 지분율과 승계 문제 등을 겪는 기업을 공략했다고 한경연은 설명했다.

황 부연구위원은 “정부의 지배구조 개선과 주주환원 강화 정책 기조, 반재벌 정서와 같은 사회적 분위기가 행동주의 투자자의 요구조건을 관철하는데 용이한 환경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삼성물산-엘리엇 사례에 이어 지난해 다수의 국내 상장사들이 행동주의 투자자의 공격을 받았다”며 “포이즌 필, 차등의결권 같은 경영권 방어장치를 마련할 때지 지배구조 규제강화를 논의할 때가 아니다”라고 주장했다.

서정명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