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암울한 한국 성장률...해외IB 올 전망치 2.4%

국정혼란·내수부진 등 악재 겹쳐

노무라 2.7%→2.0%로 낮추기도



주요 글로벌 투자은행(IB)들은 올해 우리 경제 성장률이 평균 2.4%에 그칠 것으로 전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한국은행이 발표한 올해 성장률 전망치(2.5%)나 정부 전망치(2.6%)보다 0.1~0.2%포인트 낮은 수준이다. 일부 IB는 올해 우리 경제가 2.0% 성장에 그칠 수 있다는 암울한 전망도 내놓았다.

15일 국제금융센터와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골드만삭스 등 10개 글로벌 IB가 전망한 올해 한국 국내총생산(GDP) 실질 성장률 평균은 2.4%로 나타났다.

일본 노무라가 2.0%로 우리나라의 성장률을 가장 낮게 전망했다. 지난해 1월 제시했던 성장률은 2.7%였다. 바클레이스·JP모건·모건스탠리도 각각 2.3%로 제시했다. 씨티은행·도이체방크·골드만삭스는 2.4%로 평균치였고 UBS는 2.6%였다. BNP파리바는 2.8%로 내다봤다. BoA메릴린치가 2.9%로 가장 높은 전망치를 제시했다.


해외 IB의 올해 우리 경제 성장률 전망은 지난해에 제시한 전망과도 큰 차이가 난다. 해외 IB의 지난해 1월 말 우리나라의 2017년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평균 2.8%였다. 당시 BoA메릴린치는 3.2%까지 제시했다.

관련기사



소비자 물가상승률(CPI)은 지난해 1.0%에서 올해 1.7%로 급등할 것으로 전망됐다. IB는 그러나 지난해 1월 말 제시한 2.0%보다 0.3%포인트 낮게 잡아 내수 부진에 대한 우려를 나타냈다. JP모건은 CPI를 2.0%로 가장 높게 봤고 모건스탠리와 노무라는 1.3%로 가장 낮게 예상했다.

전문가들은 대내외 불안요인을 고려하면 해외 IB가 제시한 성장률보다 더 떨어질 가능성도 있다고 보고 있다. 소비부진과 부동산 가격 하락, 최순실 게이트에 따른 국정 혼란에 따른 기업투자 부진 우려 등 내수를 둘러싼 불확실성이 성장률을 더 떨어뜨릴 수 있는 요인으로 꼽혔다. 대외적으로는 미국 금리 인상과 미국 도널드 트럼프 신정부의 보호무역주의 정책 기조 등도 한국 경제에 부정적인 요인이 될 것으로 관측됐다. 실제 국내 민간 연구기관인 현대경제연구원(2.3%)과 LG경제연구원(2.2%), 한국경제연구원(2.1%)은 올해 성장률을 더 부정적으로 보고 있다.

한편 해외 IB들은 올해 중국 경제성장률을 평균 6.4%로 전망했다. BNP파리바가 6.2%로 가장 낮게 봤고 BoA메릴린치의 전망치가 6.6%로 가장 높다. 해외 IB들은 일본 경제성장률을 평균 1.2%로, 세계 성장률은 평균 3.4%로 각각 전망했다.

김상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