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경찰, 집회참가자 추산 방식 외부제안 수용키로

경찰청장 "광화문에 100만명 앉을 수 없어"

기존 집회참여인원 추산치 비공개 방침 재확인





지난 주 집회 참여인원 추산치를 공개하지 않기로 한 경찰이 외부에서 정확한 추산 방식을 제안하면 이를 수용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이철성(사진) 경찰청장은 16일 기자간담회를 통해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집회 참여인원 추산치 비공개 방침에 대해 “논란 자체가 집회 추산 방식의 차이 때문”이라며 “누구라도 일시점 최대인원을 추산할 수 있는 가장 정확한 방법을 제안하면 그렇게 하겠다”고 말했다.


이 청장은 추산인원 측정의 경우 “정확한 인원추산을 위해서 밀집도와 현장체증 그리고 실사도 해봤다”며 “페르미(Fermi) 추정법을 통해 계산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라고 설명했다. 페르미 추정법은 3.3㎡(1평)당 앉으면 5∼6명, 서면 9∼10명으로 계산하는 면적당 인원을 추산하는 방식이다.

관련기사



퇴진행동 측의 100만명 참여인원 주장을 놓고 이 청장은 “공간적으로 숭례문 위에서부터 광화문 북단까지 최대 앉아 있을 수 있는 인원이 100만명이 안된다”며 “(경찰이)인원을 늘리고 줄일만한 어떠한 이유도 없다”고 반박했다. 지난해 11월17일 촛불집회 주최 측인 박근혜정권퇴진 비상국민행동(퇴진행동)은 집회에 100만 명이 참여했다고 발표했지만 경찰은 26만명으로 추산해 4배 가량 차이를 보였다.

앞서 지난 13일 서울지방경찰청은 주말마다 열리는 촛불집회와 탄핵 반대집회 인원 집계를 둘러싸고 논란이 일자 경찰 추산인원을 비공개하기로 결정했다. 이 청장은 “그동안 경찰이 인원을 늘리고 줄인다는 불필요한 오해를 받아 왔다”며 “원래 목적상 경력운용을 위한 내부 참고용으로만 사용하고 (외부에)공표하지는 않겠다”고 비공개 방침의 배경을 설명했다.

한편 7일 광화문광장에서 열린 새해 첫 주말집회에서는 주최 측 60만명, 경찰 2만4,000명으로 각각 추산됐다. 반면 같은 날 보수단체의 탄핵반대 집회는 주최 측 102만명, 경찰 3만7,000명으로 발표해 촛불집회보다 보수단체 집회 참여인원 추정치가 역전되기도 했다.

최성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