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경찰교육원 수당 부풀리기 꼼수? “단체로 퇴근 시간 조작” 10명만 해도 1억 원 초과↑

경찰교육원 수당 부풀리기 꼼수? “단체로 퇴근 시간 조작” 10명만 해도 1억 원 초과↑경찰교육원 수당 부풀리기 꼼수? “단체로 퇴근 시간 조작” 10명만 해도 1억 원 초과↑




경찰들이 한 경찰 교육원에서 초과 근무 수당을 타내기 위해 퇴근 후 돌아와 야근한 것처럼 지문을 찍는 장면이 공개돼 논란이 커지고 있다.


한 매체(YTN)는 충남 아산에 있는 한 경찰 교육원에서 경찰들이 초과 근무 수당을 타내기 위해 퇴근 후 돌아와 야근한 것처럼 지문을 찍는 장면이 담긴 영상을 전했다.

공개된 영상에는 직원으로 보이는 한 남성이 승용차에서 내려 출퇴근용 지문인식기에 손가락을 찍고 다시 차를 타고 떠나는 모습이 담겨있으며 이후 또 다른 차량이 청사 안에 들어오더니 이번엔 아예 단체로 내려 퇴근 지문을 찍고 사라졌다.

경찰교육원 지문 인식기 옆엔 당직 근무자가 있지만 제재하지 않는 모습이었다. 경찰교육원 당직자는 “초과 근무하는 사람들이 어떤 업무를 했는지 보는 게 아니라 (기자님처럼) 낯선 사람이 오면 챙기는건데...”라고 매체에 전했다.

일부 직원들은 여유롭게 인사까지 나누며 자연스럽게 수당 부풀리기를 했다.

한 매체(YTN)은 취재진이 찾은 날 초과 근무를 등록한 사람은 49명. 그중 부정이 확인된 사람은 13명이었다고 밝혔다.


수당 때문에 그런거냐는 취재진의 질문에 경찰교육원 한 직원은 “하루에 4시간만 수당 신청이 가능하니까 이번에 일을 많이 했으면 한 달에 30시간 이상 했으니깐 그것만 딱 찍자 그런 것”이라는 답변을 했다.

관련기사



이 보도에 따르면 경찰 공무원의 경우 6시 퇴근 후 초과 수당 마감 시간인 10시 전까지 돌아와 지문만 찍으면 시간당 만 원, 한 사람당 최대 4만 원의 수당이 생긴다.

이처럼 하루 평균 10명만 이 같은 수법으로 수당 부풀리기를 한다고 가정할 경우 1년이면 1억 원의 초과 수당이 생긴다.

작년 경찰청이 교육원에 대한 감사를 벌였지만, 수당 허위 청구로 적발된 직원은 단 한 명으로 식구 봐주기식의 ‘솜방망이 처벌‘이 이러한 관행을 키웠다는 논란이 커지고 있다.

이에 경찰 관계자는 “감찰 활동이 부족했다는 점을 인정하고 향후 같은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감시를 강화하겠다”고 전했다.

[사진=YTN방송화면 캡처]



박재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