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4차 산업혁명용 5G 주파수 공급 계획 확정

내년까지 1,300㎒ 이상 공급

정부가 4차산업혁명에 대비해 세계 최초로 국내에 5세대(5G) 이동통신서비스를 도입하기 위한 전파 주파수 공급 청사진을 처음 확정했다.


미래창조과학부는 너비 1,300MHz 이상의 5G 이동통신용 주파수를 오는 2018년까지 공급하기로 하는 내용의 ‘K-ICT스펙트럼 플랜’을 18일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확정했다고 밝혔다. 최영해 미래부 전파정책국장은 “이번 달 중 5G 할당방안 연구반과 할당대가 제도개선 관련 연구반을 구성해 세부 계획을 검토할 계획”이라고 소개했다. .

관련기사



주파수 대역별로 세분해보면 28GHz대역에서 1,000MHz폭 이상, 3.5GHz대역에서 300MHz폭 이상이 공급된다. 이중 28GHz대역은 미국 정부와 기업들이 5G 이동통신용으로 사용키로 한 주파수 대역이어서 향후 5G용 국제표준 주파수로 자리잡을 가능성이 높아 우리 정부도 전략적으로 해당 대역을 선택한 것으로 풀이된다. KT와 SK텔레콤, LG유플러스 등 국내 이동통신사들도 해당 대역에서 2017~2018년 시범서비스 개시, 2019~2020년 상용서비스 시작을 목표로 기술개발을 서두르고 있다.

5G이동통신서비스가 상용화되면 기존의 4세대 이동통신서비스(LTE 등)보다 수십 배 빠른 데이터전송이 가능해져 방대한 분량의 정보를 극초고속으로 다뤄야 하는 자율주행차, 사물인터넷(IoT), 빅데이터 서비스, 스마트공장·농업 등의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 K-ICT스펙트럼 플랜에도 자율주행차, AI, 로봇 등의 분야를 위해 2026년까지 4,440㎒폭의 신규 주파수를 확보한다는 내용이 담겨있다.

민병권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