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금융정책

하영구 회장 "인터넷전문은행과 함께 4차 산업혁명에 맞는 환경 구축할 것"

은행연합회 신년 기자간담회



하영구(사진) 은행연합회장이 신규 회원사로 맞이할 인터넷전문은행에 대해 기존 금융사와 이해관계가 다르지 않으며 모두 함께 4차 산업에 맞는 환경을 만들어 나갈 것이라고 전망했다.

하 회장은 18일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열린 ‘2017년 5개 기관 신년 기자간담회’에서 “인터넷전문은행이 기존 회원과 규제에 대한 요구가 다를 것이라는 의견이 있는데 그렇게 생각지 않는다”며 “오히려 인터넷은행이 새롭게 은행권에 진입함으로써 기존의 규제, 관행, 프로세스 등 4차 산업혁명 시기에 맞는 개혁의 촉매제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하 회장은 “디지털, 인공지능, 빅데이타, 공유경제로 대표되는 4차 산업시대에는 기존 금융사들이 핀테크 기업과의 공생과 공유를 통해 고효율의 새로운 은행의 모델로 탈바꿈해 가야한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신성장동력 확보를 위한 글로벌 시장 진출과 고령화 사회에 맞는 업무 강화 방안도 제시했다. 하 회장은 “순이자마진(NIM) 하락으로 국내은행의 수익성은 전 세계에서 최하위 수준”이라며 “기존 대출 경쟁에 매몰되기 보다는 신탁, 자산관리 등 자본 효율성이 높은 분야의 업무를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날 주제발표를 맡은 임형석 금융연구원 은행·보험연구실장은 비대면 거래 관련 플랫폼 에서의 지배력 확보를 강조했다. 그는 “핀테크 활성화로 비대면 거래에서의 수익창출 기대가 높아지고 있으나 아직까지 비대면 채널은 대부분 조회업무, 단순 거래 등에 그치는 상황”이라며 “지급결제 서비스 관련 논의가 활발한 해외 사례를 참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임 실장은 또 “국내은행의 주가순자산비율(pbr)은 약 0.5배인데 그만큼 시장 참가자들이 현행 비즈니스 모델을 통한 지속적인 수익 창출이 어렵다고 보는 것”이라며 “새로운 영업모델 발굴은 경영진과 규제 당국, 시장참가자 등 금융산업 당사자들의 공동 노력에 의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주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