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한국 떠난 리퍼트…“한미관계 이해하려면 ‘情’ 있어야”

“주한대사 근무 영광…한미관계 일조하고파”

“한미동맹 사상 최고…후퇴 말고 전진하길”

임기를 마치고 한국을 떠나는 마크 리퍼트 주한 미국대사가 20일 인천공항 출국 기자간담회에서 아들 세준을 안고 소회를 밝히고 있다. 옆에는 부인 로빈 여사가 딸 세희를 안고 있다. 리퍼트 대사는 한국에서 두 자녀를 모두 낳았다. /연합뉴스임기를 마치고 한국을 떠나는 마크 리퍼트 주한 미국대사가 20일 인천공항 출국 기자간담회에서 아들 세준을 안고 소회를 밝히고 있다. 옆에는 부인 로빈 여사가 딸 세희를 안고 있다. 리퍼트 대사는 한국에서 두 자녀를 모두 낳았다. /연합뉴스




“한미관계를 잘 이해하기 위해서는 ‘정(情)’이 있어야 합니다. (후임자에게) 밖으로 나가 한국인의 정을 몸소 느껴보라고 얘기하고 싶습니다.”

2년3개월여 임기를 마치고 미국으로 돌아가는 마크 리퍼트 주한 미국대사는 20일 오후 인천공항에서 출국 전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후임자에게 “절대 (한미동맹 강화에) 후퇴하지 말고 전진하라 말하고 싶다”면서 이 같은 조언을 했다.


리퍼트 대사는 “지난 2년 반 동안 주한 미국대사로 근무할 수 있어서 큰 영광이었다”면서 “한국을 떠나서 슬프지만 계속 한미관계에 일조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한국말로 소감을 밝히기도 했다.

관련기사



그는 트럼프 신행정부 출범 관련 한미동맹에 우려의 목소리도 있다는 지적에는 “생각해보면 한미동맹의 역사가 그렇다. 큰 도전과제가 있었으나 그만큼 기회도 컸고, 그것을 큰 성공으로 이끌었다”며 “이러한 역사가 앞으로도 이어질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확신했다.

그는 그러면서 “나는 이제 민간인 신분으로 돌아가지만, 민간인 신분으로 한미관계 관련한 일을 하고 싶다”며 “전화 한 통이면 언제든 내게 연락이 닿을 수 있다(웃음)”고 말했다.

한편 리퍼트 대사의 후임이 부임하기까지는 최소 수개월이 걸릴 것이란 전망이 제기되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가 후임 대사를 내정하고 의회 인준청문회를 거치려면 물리적으로 시간이 걸릴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후임 주한대사가 부임할 때까지는 마크 내퍼 부대사가 직무를 대행하게 된다.

노희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