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문화

[박맹호 민음사 회장 별세]출판계의 '영원한 현역' 떠나다

국내 최대 '세계문학전집' 발간

'오늘의 문학상'으로 신인 발굴 등

늘 반 발짝 앞서 가는 시도로

한국 출판계 수준 끌어올려






“사람은 책을 통해서만 완성되는 거요.” 22일 세상을 떠난 고(故) 박맹호(사진) 민음사 출판그룹 회장은 생전에 이런 말을 입에 달고 살았다. 그는 우리나라 출판계의 ‘영원한 현역’이자 ‘살아 있는 역사’로 불렸다. 출판 산업의 쇠퇴를 우려하는 목소리에도 그는 “책은 인간의 DNA라고 생각한다. 절대로 후퇴하지 않을 것”이라며 앞날을 낙관했다.

단편소설을 출간한 문학청년이기도 했던 고인은 우리 출판계에 서울대 불문과 재학 시절 일본 서적, 그것도 해적판밖에 없던 상황을 안타까워하며 출판에 뛰어들었다. 지난 1966년 5월 ‘올곧은 백성의 소리를 담는다’는 뜻의 민음사를 창립했다. 서울 광화문에서 처남이 운영하는 사업체를 사무실로 쓰고 편집과 교열은 출판사의 등록 주소인 노량진의 집에서 했다. 그렇게 펴낸 첫 책은 인도 요가책의 일본어판인 ‘요가’였다. 이 책은 우리나라에 요가를 수입하는 계기가 되면서 당시 1만5,000권이 팔려 베스트셀러가 됐다.


고인은 이후 단행본 기획과 신진 작가 발굴 등 늘 ‘반 발짝 앞서 가는’ 새로운 시도로 출판의 수준을 한 단계 끌어올리는 데 앞장서왔다. 민음사 창립 30주년을 맞아 1995년부터 기획됐던 ‘세계문학전집’이 대표적이다. 국내 최초로 외국 작가들과 정식 계약을 맺고 국내 정상급 번역자들을 섭외해 만들기 시작한 ‘세계문학전집’은 미국과 유럽 중심이던 기존 문학 전집과는 달리 제3 세계 작가, 그리고 여성 작가까지 다양한 작가를 소개했다. 1998년 오비디우스의 ‘변신 이야기’를 시작으로 현재 346권까지 나와 있다.

관련기사



“우리 작가들이 세계문학전집 반열에 드는 날을 꿈꿨다”는 고인은 문학출판에 특히 애착을 보였다. 1976년에는 계간 문학지 ‘세계의 문학’을 창간했으며 ‘오늘의 문학상’을 제정했다. 1981년에는 ‘김수영 문학상’을 제정해 지금까지 운영하고 있다.

이와 함께 1994년 비룡소, 1996년 황금가지, 1997년 사이언스북스 등 자회사를 설립해 민음사를 출판그룹으로 키웠다. 고인은 2005년 민음사 대표직을 내놓고 경영일선에서 물러난 뒤에도 왕성한 활동을 이어갔다. 그해 45대 대한출판문화협회 회장으로 당선돼 프랑크푸르트 국제도서전 한국 주빈국 행사 등을 치러냈다. 2012년 자서전 ‘책’을 펴냈다.

고인은 50여년간 몸담았던 출판계를 후배들에게 남기고 22일 오전0시4분 노환으로 별세했다. 향년 84세. 유족으로는 부인 위은숙씨와 상희(비룡소 대표), 근섭(민음사 대표), 상준(사이언스북스 대표)씨가 있다. 빈소는 서울대병원 장례식장에 마련됐다. 발인 24일 오전6시.

최수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