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경기도 수출 1,000억 달러 달성 위해 228억지원

올 수출 플러스 전환을 위한 통상전략 발표

1,000억달러 달성 및 2만명 고용창출 기대

GBC 4개 신설 및 해외통상촉진단 확대 등 담아

경기도는 올해 수출 1,000억달러 달성을 위해 228억5,600만원의 예산을 들여 도내 1만3,000개 기업의 수출을 지원한다고 23일 밝혔다.

임종철 경기도 경제실장은 이날 브리핑을 열고 이런 내용을 담은 ‘2017년 수출 플러스 전환을 위한 통상전략’을 발표했다.


경기도의 이번 전략은 지난해 1,000억달러 수출 수성(守城)에 실패했기 때문이다. 도는 2013년 1,020억달러 수출로 첫 1,000억달러 수출 성공 이후 2014년 1,116억달러, 2015년 1,060억달러 등 1,000억달러 수출을 유지해 오다가 지난해 981억달러로 1,000억달러 달성에 실패했다.

도는 올해 도내 중소기업의 수출 증대를 위해 중국과 이란·터키·아프리카 등 세계 주요 거점지역 4곳에 경기통상사무소(GBC)를 설치하기로 했다.

국내 유일의 중소기업 전문전시회인 ‘G-FAIR’ 참가 바이어를 지난해 460개사에서 600개사로 늘리고, 26회 278개사가 참여했던 도내 해외 통상촉진단을 올해 30회 300개사로 확대할 방침이다. 도는 이를 위해 홍콩과 중국 심천, 멕시코 등 해외시장을 찾아가기로 했다.


도는 또 올해 도내 기업을 내수·수출 초보기업, 수출 유망기업, 글로벌 강소기업으로 분류하고 △1단계(내수기업 및 수출초보기업 기본역량 강화) △2단계(수출초보기업의 수출유망기업화) △3단계(수출유망기업의 글로벌 강소기업화) 등 단계별 고도화 전략을 추진하기로 했다.

관련기사



도는 우선 1단계 사업을 위해 만 34세 이하 청년과 외국인 유학생 등을 통상전문가로 육성해 수출기업에 취업시키는 트레이드 매니저 사업을 확대한다. 수출 판로 다변화 지원을 위해 트레이드 매니저 선발 시 영어권 이외에 중국어 인력을 기존 34명에서 50명으로, 베트남어 인력은 6명에서 10명으로 각각 늘린다. 또 35명의 청년을 선발해 해외 역직구 창업을 지원하고 경험이 풍부한 은퇴 무역전문가를 멘토로 지정, 104개 기업을 지원하는 사업도 추진할 계획이다.

이밖에 미국 보호무역주의와 중국의 무역규제 대응을 위한 자유무역협정(FTA) 사후검증 컨설팅·지원 강화 등 모두 7개 사업을 통해 7,864개 기업을 지원할 예정이다.

도는 2단계로 세계 주요 거점지역에 경기통상사무소 4곳을 신설한다. 도는 올 상반기 중국 충칭과 이란 테헤란에, 하반기에는 터키 이스탄불과 아프리카 한 개 지역을 추가로 지정해 모두 4개의 경기통상사무소를 신설할 방침이다. 이렇게 되면 도는 9개국에 12개 통상사무소를 갖게 된다. 도는 통상사무소가 언어·문화·관습의 차이로 어려움을 겪는 도내 수출 초보기업의 해외진출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마지막 3단계로 일본 진출 중소기업에 코디네이터 지원 등 개별 지원 프로그램을 제공할 방침이다.

도는 기계, 부품, 전기·전자 등 우수 기술을 보유한 10개 중소기업에 일본 코디네이터를 지정, 일본 시장 진출을 돕는다. 또 미국 텍사스주립대와 함께 우수 중소기업의 미국 시장 진출을 지원하는 UT 기업지원 프로그램에는 10개 기업이 선정돼 올해 미국 시장 도전에 나선다.

임 실장은 “경기도 수출액이 2년 연속 감소세를 보였지만 올해는 미국과 신흥국의 경기 회복, 국제유가 상승 등 수출에 긍정적인 신호가 기대된다”면서 “4개 분야 30개 전략사업을 중심으로 통상전략을 수립해 수출 플러스 전환과 2만명 이상 고용 창출을 달성하겠다”고 말했다.

윤종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