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막오른 제로에너지빌딩 시대-기고]스마트함 더한 제로에너지 건축

김경환 국토교통부 1차관

김경환 국토부 차관김경환 국토부 차관


지난해 우리는 기상 관측 이래 가장 길고 더운 여름을 보냈다. 냉방수요 급증에 따른 전기요금 파동을 겪으면서 기후 변화가 더 이상 먼 나라의 얘기가 아니라는 것을 실감하게 됐다. 전문가들은 오는 2050년이 되면 우리나라 기후가 아열대로 변해 사과·포도·꽃게 등의 식품을 외국에서 수입해서 먹어야 할지도 모른다고 말한다.

기후변화 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국제사회와 우리나라의 노력도 강화되고 있다. 지난해 11월4일 발효된 파리기후 협약에 따라 정부는 ‘포스트(Post)2020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이행하기 위한 각 분야의 구체적인 계획을 수립했다. 건물 부문은 온실가스 배출전망치의 22%를 차지하고 있으며 앞으로 생활 수준의 향상에 따라 에너지 소비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돼 감축의 중요성이 높다.

한편 인공지능·기계학습·자율주행차 등을 위시한 4차 산업혁명의 물결이 가시화되고 있다. 지난해에 벌어진 알파고와 이세돌의 바둑 대결을 지켜보면서 우리는 4차 산업혁명이 우리 삶을 얼마나 혁신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을지를 상상할 수 있었다.


제로에너지 건축은 기후변화 문제와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하는 실마리를 제공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제로에너지 건축은 국토교통부가 집중적으로 육성하려는 7대 신산업 중의 하나이기도 하다. 제로에너지 건축물은 고성능 단열자재, 차양 등 에너지 사용을 최소화하는 패시브 요소와 온실가스를 배출하지 않는 태양광·지열 등 무공해 신재생에너지를 활용해 건축물 이용에 필요한 에너지를 생산하는 액티브 요소를 융합함으로써 건축물 스스로 에너지 자립을 이룬 건축물을 말한다.

관련기사



요즘 건축되는 새 아파트에는 방마다 설치된 시스템 에어컨이나 방별 난방 조절장치 등의 에너지절약형 설비들이 보편화돼 있다. 앞으로 4차 산업혁명을 통해 제로에너지 건축의 보급 시기가 앞당겨질 것으로 예측된다. 머지않아 건축물 스스로 실내외 공간의 온도와 습도를 파악해 냉난방 설비를 자동으로 운전하고 태양광·지열 등을 이용, 건축물이 필요로 하는 에너지를 자체 생산하는 스마트한 제로에너지 건축물이 실현될 것이다.

하지만 제로에너지 건축물은 어느 정도 추가 비용이 소요되는 것이 사실이다. 그래서 정부는 용적률·건축높이 등의 건축기준과 기부채납률을 완화하고 신재생에너지 시설 설치 보조금 지원, 주택도시기금을 통한 금융 지원 등 다양한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제로에너지 건축물의 초기 투자비용을 대폭 낮출 수 있도록 저비용 제로에너지 건축기술과 금융프로그램 등을 개발하는 데 전력을 다하고 있다.

2030년까지 신축 건축물의 70%를 제로에너지화한다면 1,300만톤의 온실가스를 감축할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되는데 이는 건물 부문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량의 36%에 해당한다. 2030년까지 500㎿급 화력발전소 10개소를 대체할 수 있는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어 연간 약 1조2,000원의 에너지 수입비용을 절약할 수 있을 것이다. 정부는 올해 제로에너지 건축물 인증제도를 도입한 데 이어 2020년에 공공 부문, 2025년에는 민간부문으로 의무화를 확대할 계획이다. 제로에너지 건축 의무화로 연간 10조원의 추가 투자와 10만명의 고용이 이뤄질 것으로 전망된다.

제로에너지 건축이 건물 부문 에너지 비용 절감과 온실가스 감축에 기여하며 새로운 산업과 일자리 창출을 통해 우리 경제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어 줄 신성장동력으로 자리매김하고 해외 녹색 건축 시장도 선점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이철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