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SK, LG실트론 전격 인수…SK-LG 반도체 빅딜

SK그룹이 반도체용 실리콘 웨이퍼를 만드는 LG실트론의 경영권을 6,200억원에 전격 인수했다. 재계 3위 SK는 SK하이닉스를 중심으로 한 반도체 시너지를 강화하고 4위 LG그룹은 비주력인 웨이퍼 사업을 정리할 수 있는 거래다. 기업들이 경쟁력 강화를 위한 사업 재편에 몰두하는 가운데 서로 사업을 주고받는 ‘빅딜’이 연초부터 터져 나온 모양새다. ★관련기사 12면

SK㈜와 ㈜LG는 23일 오후 각각 이사회를 열고 ㈜LG가 보유한 LG실트론 지분 51%(경영권 포함)를 SK㈜에 매각하는 안건을 통과시켰다. 매각가는 6,200억원이다. 이사회를 통과한 안건을 양사 주주총회에서 의결하면 LG실트론은 SK실트론으로 이름을 바꾼다. LG의 한 관계자는 “주력 사업, 신성장 사업과 연관성이 낮은 실리콘 웨이퍼 사업을 매각하면서 선택과 집중 전략에 초점을 맞추겠다”고 설명했다.


LG실트론은 지난 1983년 동부그룹이 미국 화학회사 몬산토와 함께 ‘코실’이라는 이름으로 설립했으며 ㈜LG가 1990년 지분 51%를 사들여 경영권을 확보했다. 지분 49%는 사모펀드인 보고펀드와 KTB PE가 보유하고 있다. 당초 LG는 반도체 사업을 육성하며 LG실트론과의 시너지를 노렸지만 1999년 IMF 외환위기의 후폭풍으로 LG반도체(SK하이닉스 모태)를 현대그룹에 넘기면서 LG실트론은 비주력 계열사로 물러앉았다. LG실트론은 지난해 3·4분기까지 누적 매출 6,212억원, 영업이익 203억원을 기록했다.

관련기사



SK는 LG실트론 인수로 반도체 수직계열화에 한 걸음 다가섰다. SK는 2015년에도 반도체용 가스를 생산하는 OCI머티리얼즈(현 SK머티리얼즈)를 5,000억원에 인수했다. LG실트론은 하이닉스에 웨이퍼를 공급해왔는데 SK 인수 후에는 협력관계가 더 공고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LG는 LG실트론 매각 자금으로 차량용 전자장비나 바이오 등 신성장 분야를 키울 수 있는 인수합병(M&A)을 시도할 수 있게 됐다. LG는 옛 LG카드(현 신한카드) 이후 14년 만에 계열사를 매각했으며 반도체 관련 회사는 설계 전문 기업인 실리콘웍스 정도만 남았다.

재계는 2014년 삼성·한화의 빅딜과 2015년 삼성·롯데의 빅딜에 이어 연초부터 SK·LG의 빅딜이 성사되면서 사업 재편을 위한 대기업들의 대형 거래가 이어지는 계기가 될지 주목하고 있다.

/이종혁·김현진기자 2juzso@sedaily.com

이종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