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정치일반

박원순 "위안부 합의 국민정서 맞지 않아, 재협상해야"

외신기자 초청 기자회견서

위안부 합의, 사드 등 외교 안보 현안

의견 피력

박원순 서울시장이 24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 외신기자클럽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박원순 서울시장이 24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 외신기자클럽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한·일 위안부 합의는 국민 정서와 맞지 않는 사안이기 때문에 재협상 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야권 대선주자 중 한 명인 박원순 서울시장은 24일 오후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서울주재 외신기자 초청 기자회견에서 이 같이 말하며 위안부 합의 등 외교·안보 분야 현안에 대해 목소리를 높였다.


이날 행사에는 로이터·AFP·AP·이코노미스트·NHK·아사히신문·산케이신문 등에서 40여 명의 기자가 참석했다.

NHK와 산케이신문 등 일본 기자들은 지난 2015년 12월 28일 맺어진 한·일 일본군 위안부 합의와 주한일본대사관·부산 일본총영사관 앞에 설치된 소녀상에 대해 집중 질의했다.


한 일본기자가 “촛불민심이 요구하면 외교적 약속을 파기해도 되느냐”고 질문하자 박 시장은 “국가 간 합의는 당연히 존중돼야 하지만 위안부 합의의 경우 밀실에서 체결됐고, 국민 정서와 맞지 않는 사안이기 때문에 재협상이 될 수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독일의 경우 나치의 만행 이후 인접 국가에 확실한 사과와 배상, 추모가 이어지는 등 과거 청산이 제대로 이뤄졌다”며 한·일 위안부합의 이행을 주장하는 아베 신조 일본 총리의 행보에 불쾌감을 표시했다.

관련기사



재협상 요구를 아베 정부가 거절할 경우 그 대응방안은 무엇이냐는 또 다른 일본 기자의 이어지는 질문에는 비인도적 범죄 등에 있어 시효가 적용되지 않는 국제법의 원칙을 들어 설명했다. 박 시장은 “인간의 존엄성에 관계된 국제법상 강행규범을 위반한 거 아니냐”며 “단순히 두 나라가 합의해 최종적으로 결정할 문제를 넘어선다”고 말했다.

“일본군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의 수요집회에 박 시장이 참석하는 모습이 일본인에게 서울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심어줄 수도 있는 것 아니냐”는 산케이신문 소속 한 기자의 질문에는 “일본 국민 모두가 정부의 입장에 찬성하는 것으론 보지 않는다”며 “위안부 문제를 포함해 불행한 과거를 청산하고 우호적인 외교관계를 더 원할 것”이라고 답변했다.

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THAAD·사드) 한반도 배치와 관련한 질의도 이어졌다.

박 시장은 “사드 배치가 북핵 공격을 효과적으로 대응하지 못하고 특히 수도권에는 방위력이 미치지 못한다고 많은 전문가들이 분석하고 있다”며 부정적인 견해를 내비쳤다.

전날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의 ‘사드 조속 배치’ 주장에 대해선 “현재 정부는 헌법재판이 끝날 때까지 대통령 권한을 행사하는 과도적인 정부”라며 “사드 배치와 같이 한반도의 운명을 좌우하는 국가안보 등 중요한 정책은 서둘러 빠른 시간 안에 할 일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사드 배치 문제는) 선거가 곧 시작되는 만큼 차기 정부로 넘겨야 되는 것”이라며 “이번 정부가 원점으로 돌리면 좋지만 이것도 미국과의 합의에 기초하기 때문에 재교섭이 중요하다”고 주장했다.

김민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