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금융정책

[서울경제TV] 보이스피싱 사기범 ‘목소리’ 현상수배…포상금 천만원

보이스피싱


[앵커]

전화금융사기, 이른바 보이스피싱 피해가 끊이질 않고 있습니다.


금융감독원이 국립과학수사연구원과 손잡고 여러 차례 신고된 보이스피싱 사기범의 목소리를 인공지능으로 분석해 5명의 목소리를 공개했습니다.

목소리의 장본인을 검거하는 데 기여한 제보자에게는 1,000만원을 신고 포상금으로 지급한다고 합니다.

이현호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보이스피싱이라는 범죄 피해가 처음 세상에 알려진 지는 이미 10년이 넘었습니다. 누가 속을까 싶지만 보이스피싱 전화에 속아 돈을 떼이고, 뒤늦게 가슴을 치는 피해자는 줄을 잇고 있습니다.

지난해 한 해 동안 금융감독원에 접수된 보이스피싱 피해자 수는 3만 여명이 넘습니다.


지난해 11월까지 보이스피싱 피해액은 월평균 152억원입니다. 2015년도 상반기에 261억원, 하반기 146억원의 규모로 피해액이 조금씩 줄어들고 있지만 여전히 매월 100억원 이상의 보이스피싱 피해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관련기사



감독당국의 집중적인 단속과 홍보로 규모나 숫자 자체는 줄고 있지만 이를 피해 더 정교하고 교묘한 수법의 보이스피싱이 늘어나고 있기 때문입니다.

금감원은 지난해 5월 처음으로 9명의 목소리를 공개한 데 이어, 오늘 여러 차례 신고된 보이스피싱 사기범 5명의 목소리를 추가로 공개했습니다.

[6번 신고된 보이스피싱 사기범 목소리]

“불법현장에서 본인 명의로 된 제일은행 통장이 발견됐기 때문에 통장출처 여부에 대해 조사를 진행해야 돼요.”

[5번 신고된 보이스피싱 사기범 목소리]

“아, 수고많으십니다. 연락드린 곳은 서울중앙지검의 김정모 수사관이라고 합니다.”

금감원은 보이스피싱 지킴이 홈페이지(phishing-keeper.fss.or.kr)에서 이들 사기범의 목소리를 들어보고, 사기범의 인적 사항을 안다면 신고해 달라고 당부했습니다. 신고 포상금은 1,000만원입니다.

특히 설 명절을 앞두고 급전이 필요한 서민들에게 “햇살론 등 정부지원자금을 대출해주겠다”고 속이는 수법도 기승을 부릴 수 있습니다.

금감원은 대출작업비와 신용등급 상향 조정비 등 다양한 명목으로 개인계좌 입금을 요구하면 100% 사기이니 주의해 달라고 강조했습니다. /이현호기자 hhlee@sed.co.kr

이현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