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ICBM 발사 핵심은 바로 '재진입체 기술'…北 기술력 어디까지 왔나

북한 무수단 미사일 발사 장면 / 연합뉴스북한 무수단 미사일 발사 장면 / 연합뉴스




지난해 3월 이뤄진 북한의 스커드미사일 재진입 기술시험 / 연합뉴스지난해 3월 이뤄진 북한의 스커드미사일 재진입 기술시험 / 연합뉴스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개발에 몰두하고 있는 북한이 ICBM 재진입체 기술을 아직 확보하지 못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군 관계자는 30일 “현재 북한의 ICBM 발사가 임박했다는 징후는 파악되지 않고 있다”면서도 “북한은 언제라도 김정은의 결심만 있으면 탄도미사일을 발사할 수 있다고 보고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앞서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은 지난 1일 신년사에서 “대륙간탄도미사일 시험발사 준비사업이 마감 단계”라고 말한 데 이어 신형 ICBM 시제품 2기를 제작한 정황이 한미 정보당국에 포착되면서 발사가 임박했다는 관측이 나온 바 있다.

그러나 군 일각에선 북한이 아직 ICBM 재진입체 기술을 확보하지 못해 당장 ICBM 실험에 앞서 무수단미사일의 신뢰성을 확보하는 데 주력할 것으로 보고 있다.


북한이 보유한 ICBM급 미사일인 KN-08과 KN-14는 무수단미사일 엔진 2개를 묶어 1단 추진체로 사용하는 것으로 추정되는데, 지난해 발사된 무수단미사일 8발 중 성공한 것은 단 1발에 그쳤기 때문.

관련기사



군의 한 관계자는 “사거리 1만㎞급 ICBM의 재진입 속도는 마하 24에 이르는데, 무수단미사일을 고각 발사해도 재진입 속도가 마하 15 정도에 그친다”면서 “완전히 다른 환경이기 때문에 무수단미사일로 ICBM 재진입체 기술을 시험할 가능성은 희박하다”고 말했다.

군 당국에 따르면, ICBM은 발사 뒤 외기권으로 나갔다가 대기권에 다시 진입할 때 엄청난 공기 마찰로 탄두부 온도가 7,000∼8,000℃로 상승, 플라스마 상태가 되고 동시에 열화학반응이 진행돼 표면이 급속히 마모된다. 이때 재진입체가 대칭으로 마모돼야 목표를 정확하게 타격하는데 조금만 비대칭이 생겨도 목표를 크게 빗나간다.

북한은 지난해 3월 스커드미사일 엔진의 화염으로 재진입 환경 모의시험을 했지만 당시 온도는 1,500∼1,600℃ 정도로 추정돼 ICBM급에는 크게 못 미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북한은 로켓의 단 분리 기술과 추진체 결합(클러스터링), 유도조종장치 기술은 확보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군 관계자는 “북한이 ICBM급 재진입체 기술을 확보하려면 시간이 더 필요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강신우PD seen@sedaily.com

강신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