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中 수입품 10개 중 1개는 한국산...4년 연속 시장점유율 1위에 올라

사드보복 영향에 점유율은 감소

우리나라가 지난해까지 4년 연속 중국 수입시장 점유율 1위를 기록했다.


한국무역협회 북경지부는 중국 해관총서의 ‘2016년 수출입통계’를 인용, 지난해 중국의 한국 제품 수입액은 1,589억달러(약 185조원)로 전체 수입규모의 10.0%를 차지했다고 31일 밝혔다. 한국은 중국 수입시장에서 지난 2009년 이후 10% 안팎의 점유율을 꾸준히 유지해왔으며 2013년 일본을 제치고 점유율 1위 국가에 올랐다. 다만 점유율은 2012년 9.3%에서 2015년 10.4%로 매년 꾸준히 상승세를 보였지만 지난해는 10.0%로 소폭 하락했다.

관련기사



우리나라의 중국에 대한 직접투자액도 크게 늘었다. 중화권 국가인 싱가포르를 제외하면 한국이 가장 많은 대(對)중국 직접투자액을 기록했다. 중국 상무부가 발표한 대 중국 직접투자액은 지난해 1∼11월 기준 1,138억달러(약 132조3,000억원)로 이 중 한국 투자액은 43억7,000만달러(약 5조800억원)다. 이는 싱가포르 54억6,000만달러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것이다. 특히 한국의 중국 투자액은 전년보다 17.8% 급등하며 2006년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다.

이밖에 국가별 중국 투자액을 살펴보면 중화권 국가는 하락세를 보였지만 서구권에서는 증가세를 나타냈다. 싱가포르 투자액은 전년보다 7.0%, 대만은 19.6% 감소했다. 일본도 6.5% 감소세를 기록했다. 반면 미국과 독일은 각각 50.9%, 80.2%의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수년간 한국산 제품이 중국 시장에서 견고한 위치를 점하고 있지만 한반도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를 둘러싼 갈등으로 중국으로의 수출길은 점점 좁아지는 상황이다. 무역협회 베이징지부는 “중국의 경제·무역 구조 전환에 따른 수출 감소로 한국산 수입이 줄어드는 추세”라며 “양국 정부 간 비관세조치 협의 기구 설치와 신속한 분쟁해결절차 도입 등을 통해 중국의 비관세조치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우리 기업이 겪는 어려움을 해소할 필요가 있다”고 전했다.

김현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