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서울 중·고등학교 급식 영양교사 매말랐다

영양교사 배치비율 저조, 고등학교는 9.7%에 불과

고등학교의 경우 83.5%가 2·3식 시행중임에도

영양교사 정원 확보는 미흡해

교육청 행정직이 급식업무 관리감독

영양교사와 갈등 발생하기도

서울 중·고등학교의 급식 영양교사 수가 턱없이 모자란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의회 교육위원회 이정훈 의원(더불어민주당·강동1)은 서울시교육청으로부터 제출받은 2015학년도 학교급식 실시 현황을 분석한 결과 영양교사가 배치된 학교는 중학교 384개교 중 61개교(15.8%), 고등학교 318개교 중 31개교(9.7%)에 그쳤다고 31일 밝혔다.

영양교사 배치율이 79.7%에 이르는 초등학교에 비해 크게 낮은 수치다. 영양교사가 부족한 일선 중·고등학교 상당수는 비정규직인 교육공무직으로 영양사를 채용해 인력을 충당하고 있다.


더 큰 문제는 서울 소재 고등학교 중 83.5%에 이르는 266개교에서 점심 외 아침·저녁 등 하루 2·3식을 학교급식으로 제공하고 있음에도 영양교사 정원 확보 노력은 미흡하다는 점이다.

관련기사



이 의원은 “교대근무 인원이 없어 영양교사 근무환경은 갈수록 열악해지고 있다”며 “이에 따라 근무자 이탈도 늘어 위생관리 사각지대 발생 위험이 많고 인건비 상승으로 결국 학부모 부담도 증가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 “부득이 영양교사 정원을 충족할 수 없다면 기간제 영양교사를 선발하는 것도 대안이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교육청·교육지원청과 일선 학교 영양교사와의 소통 부재도 문제로 지적됐다.

이 의원에 따르면 학교급식 관련 인력 중 영양장학사는 서울시교육청 본청 소속 1명이 전부다. 11개 교육지원청에는 영양장학사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신 비전문가인 행정직군이 해당 업무에 배치돼 학교급식 관련 일을 전담했다.

김민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