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간경화 치료 단백질 발견…혁신 신약 개발 기대

김종훈 고려대 교수팀

국내 대학 연구팀이 대표적인 성인병이자 난치병인 간경화에 치료 효과가 높은 단백질을 발견했다. 향후 혁신적인 간경화 신약 개발이 기대된다.

김종훈 고려대 교수 연구팀은 줄기세포에서 분비된 단백질이 간경화에 치료 효능이 있음을 입증했다고 31일 밝혔다. 연구 논문은 미국 소화기학회 저널에 실렸다. 이번 연구는 보건복지부와 미래창조과학부의 지원을 받아 추진됐다.


간경화는 간 조직이 딱딱해져 기능이 손상되는 질환으로 40~50대의 주요 사망 원인이지만 아직까지 근본적인 치료방법이 없다. 연구팀은 줄기세포의 일종인 ‘중간엽줄기세포’가 분비하는 인체에 유용한 단백질들을 분석한 결과 ‘MGF-E8’이란 단백질이 간경화를 억제하는 핵심 인자임을 밝혀냈다. 간경화에 걸린 쥐에 MGF-E8을 주사했을 때 병을 일으키는 주요 세포 성분이 아무런 처치를 안 한 쥐보다 50% 가까이 줄어든 것이다. 연구팀은 또 간경화 환자의 간 조직에서 MGF-E8의 발현이 현저히 줄어든다는 점도 발견했다.

관련기사



김 교수팀은 연구 결과를 단순히 치료 효능 검증에만 그치지 않고 간경화 치료 단백질 의약품으로 발전시킬 계획이다. MFG-E8 단백질은 아직까지 바이오의약업계에 많이 알려지지 않은 물질이라서 치료제 개발에 성공할 경우 혁신 신약이 될 가능성이 크다는 게 연구팀의 설명이다. 관련 기술은 이미 바이오벤처기업 ‘넥셀’에 기술 이전을 마쳤으며 넥셀과 함께 MGF-E8 단백질을 치료제로 상용화할 수 있게 최적화하는 작업을 하고 있다. 최적화 작업과 동물 독성 실험 등을 마친 뒤 본격적인 사람 대상 임상 실험에 돌입할 예정이다.

김 교수는 “이번에 발굴한 단백질의 치료적 효능에 대한 특허도 국내외에 출원한 상태”라며 “향후 MGF-E8을 간경화 이외 다른 질환에도 적용하는 연구도 병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서민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