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정우택 “청소대상 운운 편가르기식 발상, 구정치 표본” 문재인 맹비난

교섭단체 대표연설

말로는 통합 역설, 당내에선 패권 정치

"野 개혁입법, 민생 등한시 한 정치입법" 폄하

방송법 개정안, 공수처 설치 반대

정우택 새누리당 원내대표 /연합뉴스정우택 새누리당 원내대표 /연합뉴스




정우택 새누리당 원내대표는 문재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를 겨냥해 “이 나라를 위해 피땀 흘린 수많은 사람들을 청소대상이라고 몰아붙이는 그 놀라운 편가르기식 발상 자체가 정말 청산돼야 할 구정치의 표본”이라고 비판했다.


정 원내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 본회의에서 열린 교섭단체 대표연설에서 “새로운 정치를 외치고, 말로는 국민 대통합을 역설하면서 정작 당 안에서는 패권을 누리는 것이 통합이냐”며 이 같이 목청을 높였다.

그는 “과거 정권을 잡았을 때는 하지도 않던 일들을 이제 와서 개혁이니 혁명이라는 말로 새 상표를 붙여 정권을 잡으면 하겠다고 말하는 것부터 모순”이라고 맹비난했다.

정 원내대표는 야권이 추진하는 개혁입법에 대해서도 ‘정치입법’에 불과한 것이라고 평가절했다.


그는 “시급한 민생관련 법안들은 등한시 한 채 정권장악에 이용할 목적으로 추진하는 ‘정치입법’을 ‘개혁입법’ 이라는 이름으로 포장해 밀어붙여서는 안 된다”며 “야당이 내놓은 방송법 개정안은 기존의 방송계를 흔들어 야당과 노조의 방송장악으로 이어질 것이 불을 보듯 뻔하다”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그러면서 “검찰개혁의 필요성에는 동감한다”면서도 “야당이 주장하는 고위공직자비리수사처 설치는 오히려 검찰조직에 옥상옥을 만들고 정쟁의 대상이 될 뿐만 아니라 검찰개혁의 본질적 문제를 해소하지도 못한다”고 꼬집었다.

이어 “야당은 국정화금지법을 제정하겠다고 한다”며 “기존 검정교과서의 편향성을 극복하고 올바른 국가관과 균형 잡힌 역사교육이 이뤄지기 위해서는 학교와 학부모가 국정교과서와 검정교과서를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도록 선택권과 자율권이 보장되는 것은 당연한 일”이라고 설명했다.

정 원내대표는 “경기침체와 국정불안정이 가중되는 상황에서 야당이 민생과 관련도 없는 정치입법들을 일방적으로 추진하는 것은 대선을 앞두고 그 숨은 정치적 의도를 의심받을 수밖에 없는 것”이라고 일갈했다.

그러면서 “2월 국회에서는 청년일자리 창출을 위해 서비스산업 발전기본법, 규제프리존 특별법, 노동관계법을 반드시 통과시켜야 한다”고 재차 강조했다.

나윤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