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삼성전자 전경련 탈퇴,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문제점 개선 위한 행보 시작

삼성그룹이 박근혜·최순실 게이트로 드러난 문제점을 고치기 위한 본격적인 행보에 돌입했다. 지난 6일 삼성전자 등 핵심계열사의 전국경제인연합회(이하 전경련) 탈퇴원 제출을 시작으로 그룹의 컨트롤타워인 미래전략실 해체도 박영수 특별검사팀 수사가 끝나는 대로 공식화할 예정이다.

앞서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은 지난해 12월6일 이번 게이트 관련 국회 국정조사 청문회에 증인으로 출석해 전경련 탈퇴와 미전실 해체를 약속한 바 있다. 다만 이 부회장, 최지성 미전실 부회장, 장충기 미전실 사장 등 그룹 수뇌부에 대한 특검 수사가 진행 중인 만큼 그룹 개혁안 발표 시기를 연기했다.

하지만 전날 삼성전자의 전경련 탈퇴원 제출에 이어 미전실 해체에 대한 입장도 밝히며 그룹 개혁 시계가 빨라졌음을 시사했다.


삼성그룹 관계자는 이날 “약속한 대로 미래전략실은 해체한다. 특검의 수사가 끝나는 대로 조치가 있을 것”이라며 “이미 해체 작업을 위해 준비 중인 것으로 알고 있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특검 수사는 오는 28일 종료될 예정이다. 다만 특검팀이 수사 연장 의사를 밝히면 황교안 대통령 권행대행이 추가로 30일 연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르면 이달 말 늦어도 다음달 말에는 미전실 해체에 대한 공식 발표가 있을 것이라는 의미.

이와 관련 미전실을 축소해 삼성전자 하부조직으로 흡수 통합하는 방식, 별도의 조직을 신설하지 않고 삼성전자·삼성생명·삼성물산 등 주요 계열사의 기존 경영지원조직이 맡는 방안 등 다양한 방안이 내부적으로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재계 관계자는 “이재용 부회장에 대한 구속영장이 기각되며 불구속 상태에서 수사 및 재판을 받을 가능성이 높은 만큼 쇄신을 단행할 토대는 마련이 됐다”며 “조만간 나올 쇄신안을 통해 이재용 시대 삼성의 지향점을 알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장주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