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마켓

2050년 경제규모, 한국 위에 나이지리아·파키스탄

PwC '세계 경제 순위 변화' 보고서

신흥국에 밀려...한국 18위로 추락



오는 2050년에는 나이지리아·이집트·파키스탄 등의 경제 규모가 한국을 추월한다는 관측이 제기됐다. 현재 전 세계 13위 규모인 우리나라는 신흥국들의 성장세에 밀려 2050년 18위로 내려앉을 것으로 전망된다.

글로벌 회계컨설팅 기업인 프라이스워터하우스쿠퍼스(PwC)는 7일 세계 32개국의 국내총생산(GDP·구매력평가지수 기준) 전망을 담은 ‘2050 세계 경제 장기 전망-세계 경제 순위의 변화’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전 세계 경제가 연평균 2.5% 성장해 2042년에는 현재의 두 배 규모로 커지는 가운데 신흥국의 성장률이 선진국을 앞서면서 경제 규모 순위도 대거 바뀌게 된다는 이야기다.


현재 GDP 1위인 중국은 2050년에도 1위를 유지하지만 2위인 미국, 3위인 인도는 서로 순위를 맞바꿀 것으로 예상됐다. 주요 신흥국들을 뜻하는 ‘E7(중국·인도·인도네시아·브라질·멕시코·러시아·터키)’은 연평균 3.5%의 성장률을 보이며 성장률이 5% 이상으로 가장 높을 국가로는 베트남·인도·방글라데시가 꼽혔다. 이에 따라 세계 7대 경제국 중 6개는 신흥국들이 차지하고 한국도 현재 13위에서 2030년 14위로, 2050년 18위까지 하락하게 된다. 나이지리아·이집트·파키스탄·사우디아라비아 등도 빠르게 성장하면서 한국의 총 GDP를 추월할 것으로 관측됐다. 이는 우리나라 성장률이 주요 신흥국뿐 아니라 선진국과 비교해도 상대적으로 떨어질 만큼 경제 활력을 잃어버릴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PwC가 예상한 2016~2020년 사이 우리나라 경제성장률은 연평균 3%지만 2021~2030년은 1.9%, 그다음 10년은 1.5%, 2050년까지 10년간은 1.4%로 떨어진다. 영국이나 프랑스보다도 경제성장률이 떨어지는 셈이다.

관련기사



PwC 선임 경제학자인 존 호크스워스는 “2050년에는 E7 국가가 세계 GDP의 50% 이상을 차지하고 주요7개국(G7)의 비중은 20% 미만으로 떨어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미국·영국·일본·이탈리아 등 기존 G7의 예상 평균 경제성장률은 1.6%로 계산됐다. 다만 보고서는 “신흥국들의 경제성장은 거시경제 상황 개선과 교육에 대한 투자, 충분한 일자리 창출이 뒷받침해줘야 실현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박시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