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이주열 “기존 세계무역질서 큰 변화… 수출 낙관 못 해”

경제동향 간담회…“수출 부진은 성장 부진으로 이어진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8일 서울 한국은행에서 열린 경제동향간담회에서 인사말을 마치고 취재진의 퇴장을 기다리고 있다. /연합뉴스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8일 서울 한국은행에서 열린 경제동향간담회에서 인사말을 마치고 취재진의 퇴장을 기다리고 있다. /연합뉴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8일 “기존 세계무역 질서에 커다란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상황이 전개되면서 앞으로 수출 여건을 낙관할 수만은 없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이날 서울시 남대문로 한은 본관에서 경제동향간담회를 주재한 자리에서 이 같이 말했다.


이 총재는 수출에서 큰 대외 여건의 변화로 미국의 보호무역주의와 브렉시트(Brexit·영국의 유럽연합 탈퇴)를 꼽았다. 이 총재는 테리사 메이 영국 총리가 지난달 중순 ‘하드 브렉시트’를 공식화했고 미국은 트럼프 행정부가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 탈퇴,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 재협상을 추진하면서 특정 몇 개국에 환율 조작을 경고하는 등 보호무역주의 정책 기조를 분명히 했다고 말했다.

특히 “미국 행정부의 이런 움직임을 예상했지만, 당초 공약 중 어느 정도 실제 정책으로 이어질지 불확실했는데 예상보다 빠르고 강하다”고 평가하며 “무역환경이 어려워지는 상황에 대처하는 것이 시급한 현안 과제”라고 말했다.


이 총재는 “우리 경제는 수출이 국내총생산(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40%대로 높기 때문에 요즘처럼 심리 위축으로 민간소비 등 내수 회복이 지연되는 상황에서 수출 부진이 곧바로 성장 부진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고 우려했다.

관련기사



이어 “정부는 상당한 경험과 정보, 네트워크, 인적자본을 축적해온 민간부문과 공조해 다가올 파고에 대응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총재는 올해 1월까지 3개월 연속 수출이 증가한 것과 관련해선 “수출 실적 개선은 글로벌 경기 회복에 상당 부분 기인한 것”이라며 “수출 개선이 지속하면 설비투자 등 내수 회복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한편 간담회에는 신승관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장, 이재영 대외경제정책연구원 구미·유라시아본부장, 이한영 중앙대 경제학부 교수, 정영록 서울대 국제대학원 교수, 조영수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시장동향분석실장, 지만수 한국금융연구원 국제금융연구실 연구위원 등이 참석했다.

김상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