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아베, 트럼프와 우호 위해 총력 쏟아 '美 투자규모 조사 중'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오는 10일 열리는 미일 정상회담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의 우호적 관계를 다지기 위해 총력을 다하고 있다. 일본 주요 기업과 정부 자금등을 동원한 대규모 미국 투자 계획을 통해 트럼프 대통령의 미일 경제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을 거둬들일 수 있을 지 이목이 쏠렸다.

7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일본 정부가 일본 기업에게 미국 투자 규모를 조사 중이다. 아베 총리는 이들이 초고속 고속철도와 같은 미국 인프라 투자에 수십억 달러를 투입하겠다는 것. 지난주 아베 총리는 아키오 도요타 자동차 회장을 만나 미일 정상회담을 앞두고 함께 논의했다.


사다유키 사카키바라 일본경영인협회 회장은 “미국은 일본에게 경제, 안보, 정치적으로 중요한 나라인만큼 이번 미일 정상회담에서 일본 기업들이 미국에 4000억달러를 투자하고 있고 170만개의 일자리를 만들었다는 점을 강조해야 한다”며 “우리가 미국의 수출에 도움을 주고 있다는 사실을 말해야 한다”고 밝혔다.

도요타 회장도 최근 트럼프가 일본의 자동차 산업을 꼭 짚어 비판한 것에 대해 상당한 우려를 나타낸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도요타는 지난 1월 5년에 거쳐 미국에 100억달러 규모의 투자를 단행하고 프린스턴 연구소에 400여개의 일자리를 만들겠다고 결정했다. 소프트뱅크도 4년동안 500억 달러를 투자하겠다는 계획.

이번 정상회담에서 아베 총리의 가장 큰 미션은 트럼프 대통령과 우호적인 관계를 구축하는 것이다. 두 정상은 오는 11일 플로리다 마라고 리조트에서 골프 회동을 할 예정이다. 이 과정에서 양 국가가 처한 상황을 인식하고 일본의 현 상황을 전달하겠다는 것.


아베 총리가 가장 우려하는 것은 환율로 알려졌다. 트럼프 대통령이 최근 일본을 ‘환율조작국’이라고 몰아치며 엔저현상을 비판하고 나섰다. 아베 총리는 이 주장에 대해선 강하게 반발했다. 이를 무마하기 위해 아베 총리는 ‘미-일 성장과 고용 이니셔티브(U.S.-Japan Growth and Employment Initiative)’라는 이름의 투자를 제안할 것으로 보인다.

관련기사



이 이니셔티브에는 미국에 일자리 70만개를 만들고, 향후 10년간 4500억 달러(약 511조 7850억 원) 규모의 신(新)시장을 창출하는 내용이 포함돼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또한 미국 달라스-휴스턴, LA-샌프란시스코에 초고속열차 건설을 제시할 것으로 전해졌다. 초고속열차 노선을 건설하게 되면 일본의 ‘신칸센’을 수출할 수 있을 거란 기대도 제기됐다.

일본은 이같은 미국 투자를 위해 정부 지원을 다방면으로 계획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은행 국제협력기금이나 외환보유고와 연동된 인프라 기금을 통해 자금을 조달한다는 방침이다. 정부연기금도 대규모 인프라 투자가 가능한 만큼 미국 투자에 나설 공산도 큰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정부는 미국이 국내투자에 세제혜택을 계획하고 있는 점을 들어 투자를 독려하고 나섰다.

하지만 아베 총리 계획에 대해서 회의적인 시각도 제기되고 있다. 일본 기업이나 정부 기금이 수용할 수 있는 한도를 넘어설 수 있는 우려인 것. 한 기업 관계자는 “트럼프 대통령 때문에 기업 계획을 완전히 바꿀 순 없다”며 “우리가 실제로 필요한 공장만 미국에 지을 수 있다”고 말했다.

일본 금융업계 한 종사자는 “아베 총리가 트럼프 대통령에게 조건 없이 너무 큰 약속을 하는 게 아닌가 우려된다”며 세금 문제 등이 아직 명확하게 정해지지 않은 부분을 지적했다.

또한 고속열차건설과 관련한 공적투자에서 ‘바이 아메리칸(Buy American)’정책으로 신칸센 수출이 발목잡힐 수 있다는 점도 제기했다. 트럼프 정부가 무역장벽과 미국 제조업 부양에 집중하고 있어 아베 총리가 이 부분을 강력하게 주장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장주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