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모처럼 활짝 대한항공 6년만에 1조 영업이익 쏘다

수익성 높은 중장거리 노선 공략

조양호 회장의 경영성과 빛발해



조양호 한진그룹 회장이 모처럼 활짝 웃었다. 지난해 한진해운 사태로 홍역을 치르는 상황에서도 대한항공이 6년 만에 영업이익 1조원 이상을 기록했기 때문. 대외 악재 속에서도 꾸준히 내실을 다지고 영업력을 강화해온 조 회장의 경영 성과가 빛을 봤다는 분석이다.

대한항공은 지난해 1조1,208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다고 9일 밝혔다. 영업이익은 1년 전보다 26.9% 급증했다. 매출액 역시 11조7,319억원으로 1.7% 증가했다. 대한항공의 영업익은 지난 2010년 1조2,357억원 이후 2013년 195억원 적자였고 이후 반등해 V자형 형태를 그려왔다. 특히 지난해는 저유가가 이어지고 원화 약세인 상황에서 신규 노선을 확대한 전략이 들어맞았다. 대한항공은 지난해 부산~대만, 인천~오키나와, 인천~구이양, 인천~델리 등을 신규 취항했다. 저비용항공사들과 경쟁이 치열해지는 노선보다는 중장거리 위주의 수익성 높은 노선을 집중 공략한 덕분이다. 항공 탑승객이 1억명을 돌파하며 사상 최대를 기록하는 등 영업 상황도 좋았다. 한진해운 사태에도 내부 조직을 다잡고 영업력을 강화한 조 회장의 위기경영이 통했다는 분석이다. 다만 3·4분기까지 한진해운 관련 손실 8,052억원을 반영하면서 6,419억원의 당기 순손실을 기록했다.

조양호 한진그룹 회장조양호 한진그룹 회장


올해 가장 우려하는 부분은 환율이다. 대한항공의 4·4분기 영업이익은 1,783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6.5% 급감했다. 대한항공 관계자는 “9월 1달러당 1,096원이었던 환율이 12월 말 1,208원까지 급등하면서 환율에 따른 손실이 발생했다”고 설명했다.


항공 수요는 올해 견조하게 증가할 것으로 관측된다. 국제항공운송협회(IATA)에 따르면 세계 항공여객 수요가 지난해보다 5.1%, 세계 항공화물 수요는 3.3%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여객 부문에서 해외로 나가는 고객들이 많은 점, 화물 부문에서는 글로벌 경기회복세 및 무역량 증가로 수익이 많이 남는 화물 수요가 늘 것으로 예상된다. 조원태 대한항공 사장이 본격적으로 경영에 나서면서 조직 분위기를 쇄신하고 있는 점도 긍정적 요소다. 대한항공 관계자는 “1월 말 환율이 1,100원대로 재하락하면서 분위기는 양호한 편”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강도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