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정책·제도

여의도 한강공원, 교통·문화공간으로 바뀐다

유람선 등 입출항 관리 통합선착장

윤중로변 식당·카페·상점거리 조성

市, 1,931억 투입...2019년 완공

여의문화나루 조감도여의문화나루 조감도


마포대교와 원효대교 사이의 서울 여의도 한강공원 일대가 오는 2019년 수상교통·레저·관광·문화가 어우러진 수변 거점으로 거듭난다. 유람선과 수상택시·요트 등 입출항을 관리하는 서울시 첫 통합선착장이 들어서고 한강변·윤중로변은 식당과 카페·상점 거리로 변신한다.

서울시는 9일 4대 문화·관광시설 건립을 골자로 하는 여의문화나루 기본계획을 발표했다. 4대 핵심사업은 수상시설인 △여의나루(통합선착장) △여의정(피어데크), 육상시설인 △여의마루(여의테라스) △아리문화센터(복합문화시설) 등이다. 시는 여의도 한강공원 내 1만3,500㎡ 부지에 1,931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2019년 완공할 예정이다.


먼저 여의나루는 페리·유람선·관공선 등 다양한 선박이 드나드는 공간으로 상부에는 전망대가 설치된다. 관공선·수상교통시설을 통합관리하고 매년 5~10% 성장하는 수상레저스포츠 수요에 선제적으로 대비하는 차원이다.

한강변에 조성되는 수변문화집객시설 여의정(연면적 7,000㎡)은 시민·관광객 설문조사를 거쳐 먹거리·볼거리·즐길거리가 가득한 상업시설로 조성되고 여의나루와 데크로 연결된다.


또 윤중로에 들어서는 여의마루는 식당·카페·관광·판매시설이 들어서 여의도와 한강을 연결하고 여의도 주민·직장인과 국내외 관광객이 결합하는 ‘매개공간’으로 기획된다.

관련기사



아리문화센터(연면적 8,000㎡)는 콘텐츠 중심의 복합문화시설이다. 크게 △상설전시공간 △대관전시공간 △어린이 과학체험관으로 조성된다.

시는 행정재산이며 재정사업인 여의나루를 선도사업(1단계)으로 우선 추진하고 일반재산인 여의정과 여의마루는 위탁개발사업(2단계)으로, 아리문화센터는 공공문화사업(3단계)으로 추진한다. 선도사업인 여의나루(통합선착장)에 대한 국제설계공모(총상금 1억원)를 4월10일까지 진행한다.

진희선 서울시 도시재생본부장은 “서울의 대표 상징공간인 한강을 과거의 하천 중심 가치를 넘어 이제 문화·관광 핵심공간으로 그 영역을 확대시켜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재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