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충북 보은서 또 구제역 의심신고, 도내 젖소 사육농가 모두 전수조사 진행 '비상'

충북 보은의 구제역 최초 발생 농가에서 불과 1.3㎞ 떨어진 한우농장에서 추가로 의심 신고가 접수돼 간이검사를 한 결과 양성 반응이 나와 충격을 주고 있다.

오늘(9일) 충북도에 따르면 이날 오전 10시께 보은군 탄부면 구암리 한우 농장에서 기르는 소 7마리에서 수포가 발견되거나 침흘림, 식욕 저하 등 구제역 의심 증상이 발견됐다는 신고가 들어왔다. 이 농가에서는 한우 151마리를 사육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충북도는 초동 방역팀을 긴급 투입, 간이검사 결과 양성 반응이 나오자 농림축산검역본부에 정밀검사를 의뢰하는 한편 이 농가의 출입을 통제하고 있다. 또 식욕 저하 증상만 보이는 2마리를 제외한 나머지 소 5마리는 즉시 살처분 조처한 것으로 전해졌다.

충북도는 이 농가의 항체 형성률 검사를 병행, 낮게 나오면 농장 내 모든 소를 살처분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이 농가는 지난 5일 구제역이 발생한 보은군 마로면 관기리 젖소농장의 3㎞ 방역대 이내인 1.3㎞ 떨어진 곳에 있어, 방역대 추가 확대는 이뤄지지 않고 있다.

정밀검사에서도 확진 결과가 나오면 이 농장은 195마리를 사육하는 보은 농장을 시작으로 전북 정읍 한우농장(49마리), 경기 연천 젖소농장(114마리)에 이어 올해 들어 구제역이 발생한 4번째 농가가 될 예정.


보은, 정읍, 연천 3개 확진 농장을 포함해 지금까지 전국에서 살처분된 소는 모두 12개 농장 826마리에 해당한다. 이 가운데는 구제역이 발생하지는 않았으나 예방 차원에서 살처분된 9개 농장 소 472마리가 포함된 것으로 전해졌다.

관련기사



충북도 관계자는 “간이검사 양성 반응이 나타난 보은 한우농장은 최근 긴급 예방 접종이 완료된 곳이다”면서 “일단 문제의 농장이 방역대 내에 있어 주변으로 더 확산하는지 지켜보면서 대응책을 모색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첫 구제역 확진 농장의 항체 형성률이 19%에 그치고 주변 20개 농가들도 대부분 항체 기준치에 미달하는 것으로 나타나 구제역이 더 번질 가능성이 크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충북도가 지난 7∼8일 첫 확진 농장의 반경 500m내에 있는 한·육우 사육농가 9곳을 검사한 결과 평균 항체 형성률이 54.4%에 달했다. 반경 3㎞내에 있는 젖소 사육농가 11곳의 항체 형성률도 평균 73%로 확인됐다. 소의 항체 형성률이 80% 미만일 경우 구제역 감염 가능성이 커지는데, 이들 농가는 기준치를 밑도는 것.

특히 50% 미만이 6곳, 아예 0%인 농가도 2곳이나 있었다.

한편 충북도는 일단 지역 전체 상황을 파악하고자 오는 16일까지 도내 젖소 사육농가 모두를 대상으로 항체 형성률 전수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장주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