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정부, 北 미사일 발사 따른 '실물경제 대응팀' 꾸렸다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의 13일자 1면 지면. 북한의 새 중장거리 전략탄도미사일(IRBM)인 ‘북극성 2형’ 시험발사 현장에 나온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이 환호하는 군인들에게 둘러싸인 사진을 지면 중앙에 실었다. /연합뉴스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의 13일자 1면 지면. 북한의 새 중장거리 전략탄도미사일(IRBM)인 ‘북극성 2형’ 시험발사 현장에 나온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이 환호하는 군인들에게 둘러싸인 사진을 지면 중앙에 실었다. /연합뉴스




정부는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가 실물경제에 미치는 영향력을 관찰·대응하기 위해 ‘실물경제비상대책본부’를 구성해 상시 모니터링 한다고 13일 밝혔다.


정만기 산업통상자원부 1차관을 본부장으로 하는 본부는 기획·운영, 산업기반, 에너지자원, 무역투자, 통상 등 6개 대응반으로 구성된다.

각 대응반은 코트라(KOTRA), 상무관, 관련 협회·기관과 협조해 24시간 모니터링 체계를 가동하면서 수출입, 해외 바이어, 외국인 투자, 에너지·원자재 수급 및 시설 안전 등 각 부분의 동향을 실시간 점검한다.


앞서 정부는 이날 오전 기획재정, 산업부, 금융위원회, 한국은행, 금융감독원 등 ‘관계기관 합동점검반’을 열어 북한 미사일 발사와 관련한 외국의 시각을 점검하고 금융시장과 실물경제에 미칠 영향을 회의했다.

관련기사



정부는 지난 12일 발사된 북한의 미사일에 대해 국내외 시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다고 판단했다.

다만 미국의 새 정부 출범에 따른 세계 정치·경제 질서의 변화 가능성, 국내 정치 상황 등 대내외 불확실성이 이어지는 상황인 만큼 과거와는 다른 양상으로 전개될 가능성을 배제 할 수 없다고 전했다.

산업부는 “그간 북한 핵실험·미사일 발사 등 주요 상황이 발생하면 비상대책본부를 구성하고 분야별 모니터링과 함께 관계 부처 공조 등 체계적 대응을 시행해왔다”면서 “앞으로 본부에선 실물경제 상황을 종합적으로 파악하고 필요한 조치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세영 인턴기자 sylee230@sedaily.com

이세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