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하만 17일 주총…삼성 합병안 통과 주목

삼성전자와 합병 계획을 발표한 미국 전장업체 하만이 17일(현지시간) 주주총회를 열고 삼성과 합병안을 의결한다. 일부 주주들이 가격이 너무 낮다며 합병 반대 의사를 밝힌 만큼 결과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하만은 오는 17일(현지시간) 미국 코네티컷주 스탬포드시에서 임시주주총회를 연다. 삼성전자와의 합병 안건은 주주 50% 이상의 동의를 얻으면 가결된다. 삼성전자가 하만 이사회와 합의한 인수가격(주당 112달러)은 직전 거래일 종가보다 28%, 30일간의 평균 종가보다 37% 프리미엄을 얹은 가격이다. 인수 총액은 80억달러(약 9조4,000억원)로 국내 기업의 해외 기업 인수합병(M&A) 사례 중 사상 최대다.


일부 주주들은 하만의 성장 가능성을 고려할 때 가격이 지나치게 낮다며 반대하고 있다. 지분 2.3%를 보유한 애틀랜틱투자운용은 지난해 12월 “2015년 하만의 주가는 145달러를 넘겼고 향후 200달러까지 오를 수 있다”며 주총에서 반대표를 던지겠다고 예고했다. 지난달 초에는 소액주주들이 ‘추가제안금지’ 조항과 과도한 위약수수료 등을 문제 삼아 하만 경영진을 상대로 집단소송을 냈다.

관련기사



다만 업계에서는 주주들의 반대 움직임이 인수협상을 뒤엎을 정도로 타격을 주지는 않을 것으로 내다본다. 김동원 KB증권 연구원은 “합병 관련 소송은 미국 상장사의 M&A 과정에서 자주 나타나는 현상”이라며 “삼성-하만은 우호지분을 이미 충분히 확보하고 있어 M&A에는 문제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합병안이 주총에서 통과된 후에는 미국, 유럽연합(EU), 중국 등 주요 국가 반독점규제 당국의 승인을 얻어야 한다. 정부 승인을 거치고 나면 삼성전자는 3·4분기까지 인수작업을 마무리할 계획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자동차 전장부품은 삼성전자가 새로 시작하는 사업으로 독점 논란에서는 자유로운 만큼 승인에 큰 무리가 없을 것”이라면서도 “‘미국우선주의’를 내세우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공개적으로 대형 M&A에 반대 입장을 견지해왔던 만큼 이번 사안에도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다는 점도 주시해야 한다”고 전했다.

김현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