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재테크

해외선물의 신 “신동국의 쎈(SEN) 해외선물 시황”

해외선물의 신 “신동국의 쎈(SEN) 해외선물 시황”




KR선물 신동국 이사

현재 서울경제TV의 ‘해외선물의 신’ 해설위원이며, 경기과학고, KAIST(한국과학기술원)을 졸업했고 파생상품을 전공한 정통파이다. 삼성경제연구원(SERI)이 첫 직장이었고 신한BNPP자산운용, 한국투신 그리고 마이다스에셋자산운용 등에서 펀드매니저 생활을 하였다. 최근에는 숭실대 겸임교수로 강의중이며 파생상품을 알리기 위해 강의 및 집필 활동 중이다.

41회: 2017년 2월 13일 월요일 15시 기준

다시 앞장서는 S&P500 지수선물, 밀리는 유로화선물



1. S&P500 3월물 (ESH7) : 거침없는 상승 행보를 보이는 S&P500, 저가 매수 유효

트럼프의 정책에 대한 시대감이 다시 시장에서 상승요인으로 작용하며 사상최고치를 갱신하였습니다. 장중에 2,315.75p까지 상승했습니다. 트럼프의 친기업정책의 힘이 시장을 통해 보여지고 있습니다. 하락은 소폭으로 상승은 큰폭으로 나타나는 것이 주식시장의 특징이 되었습니다. (차트 A) 단기적으로 주식시장은 위험자산이 아닌 가장 안전한 자산으로 보입니다. 당분간 경제지표의 영향보다는 정책관련 기대감의 영향이 중요합니다. 전일에도 경제지표(소비자신뢰지수)의 부진은 보이지 않았습니다. 금일도 추가적인 상승을 시도하며, 2,307.75(9일 고가) ~ 2,325p 범위를 예상합니다.



2. Euro-FX 3월물 (6EH7) : 프랑스를 주시하며 매도위주 접근, 매도 유효

유로화에는 2017년 프랑스대선이 큰 악재로 작용할 것입니다. 극우파 후보 마린 르펜이 당선되면 EU탈퇴에 대한 국민투표를 할것이라고 햇습니다. 작년 영국과 마찬가지로 탈퇴가 결정되는 여부는 물론 그 이전 여론조사 등에 영향을 받으면서 유로화는 상당한 요동을 보일 것입니다. 로이터 기사에 따르면 이미 파생상품 시장에서는 유로에 대해 작년의 파운드의 운명을 예상하는 분위기라고 합니다. 2015년 이후 유로매도/파운드매수를 선호하고 있답니다. 유로화에 대해서는 위가 막힌 하락 위주의 접근이 유효 합니다. 전저점에 대한 지지가 어려워 보입니다. (차트 B) 금일도 하락 추세가 이어지며, 1.05500 ~ 1.06790(10일 고가)$의 범위를 예상합니다.


3. 원유 3월물 (CLH7) : 원유감산의 이행속도는 적정하며 가격은 박스권, 고가 매도 유효

관련기사



2017년 원유시장은 감산합의에 대한 이행이 중요한 변수입니다. 로이터 보도에 따르면 1월에 OPEC 회원국은 92%의 감산이행을 하였으며, 비OPEC은 40%를 이행했다고 합니다. 이는 비회원국 중에서 최대 산유국인 러시아가 30만배럴 감산 목표인데 단계적 감산 시행으로 1일 10만배럴 줄이는데 그쳤기 때문입니다. 2017년 공급주체의 감산합의는 지켜지고 있으며 이는 기대수준 이상으로 보입니다. 미국의 원유공급 이슈가 있어 시장은 당분간 방향을 잡기 어려워 보입니다. 금일은 박스권 상단에서 하락이 예상되며(차트C), 52.90(10일 저가) ~ 54.13(10일 고가)$의 범위를 예상합니다.

4. 금 4월물 (GCJ7) : 틈만나면 불확실성 이슈가 부각, 매수 유효

로이터에 따르면 스탠피 피셔 미국 연방준비제도 부의장은 도널드 트럼프 정부 하에서 미국의 재정정책을 둘러싼 상당한 불확실성이 존재하지만 연준은 완전고용을 창조하고 인플레이션을 2%로 올리기 위한 목표 달성을 흔들림 없이 추진하겠다고 말했답니다. 그는 청중들의 질문에 앞으로 실제 어떤 일이 벌어질지가 “상당히 불확실”하고, 이와 관련해서 누구라도 아주 많이 알고 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라고 말했습니다. 모두 맞는 말입니다. 중요한 것은 시장은 틈만나면 불확실성을 들춘다는 것입니다. 조정의 모습을 보일 때마다 매수접근이 유효합니다. 금일도 상승을 시도하며, 1,222.6(10일 저가) ~ 1,246.6(8일 고가)$ 범위(차트 D)를 예상합니다.



#1. SEN PORTFOLIO : 단기는 당일 매매(종가 청산), 장기는 해당월물 매매(최종거래일 청산)







A. 짧은 음봉과 긴 양봉을 보이며 상승을 이어가는 지수선물 (일봉 차트, 2016년 11월 이후)



출처 : KR선물HTS출처 : KR선물HTS


B. 중장기적인 하락추세를 다시 이어가는 유로화 (주봉 차트, 2014년 이후)



출처 : KR선물HTS출처 : KR선물HTS




C. 52~54$의 박스권 상단에서 하락이 예상되는원유선물 (120분 차트, 1월 16일 이후)



출처 : KR선물HTS출처 : KR선물HTS


D. 다양한 불확실성 요인으로 상승을 이어가는 금선물 (60분 차트, 1월 27일 이후)



출처 : KR선물HTS출처 : KR선물HTS


김상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