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중국에선 '신부'가 귀해진다? 미혼남성수 30년 내 3,000만명 돌파



중국에서 미혼남성 문제가 도시와 농촌 가릴 것 없이 전 사회적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30년 뒤 중국에서는 결혼 적령기 미혼남성이 3,000만명을 넘어설 것이란 전망까지 나온다.

13일 중국 관영 인터넷 매체 펑파이(澎湃)는 중국 산시(陝西) 성 웨이난(渭南)의 한 농촌에 사는 장모씨의 사연을 소개했다. 그는 올해 25살이 된 미혼 아들을 걱정하며 “우리 작은 마을에만 노총각이 30명이 넘는다. 아들이 혹시 장가를 못가면 어쩌나 걱정이 많다”고 토로했다.


장씨는 “이대로 두 손 놓고 있다가는 해결이 나지 않을 것 같다”며 “건넛마을 이 씨네 집에 10만 위안(1,700만원)의 혼례금과 혼례주 등 예물을 챙겨 가 약혼을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최근 중국사회과학원 인구노동경제연구소는 2020년 중국의 35세 이상 59세 이하 미혼남성 수가 1,500만 명, 2050년에는 3,000만 명을 넘어설 것으로 예측했다.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2015년 중국의 출생 인구 성비는 113.51(여아 100명당)로 정상범위(103∼107)를 훨씬 웃돌았으며, 성비 불균형 현상이 본격적으로 나타난 1980년 이후에는 최고 130까지 올라가기도 했다.

관련기사



인구노동경제연구소는 이같은 성비 불균형의 원인으로 중국 농촌과 일부 도시 지역에 남아있는 ‘남존여비’ 사상을 꼽았다. 또한 태아 성별 감별 기술 등 의학기술의 발달도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왕광주 중국사회과학원 인구노동경제연구소 연구원은 “성별 데이터 공유 플랫폼을 만들어 경고 시스템을 구축하고, 위생계획생육위와 공안국, 통계국, 교육부 등 여러 부문이 협력하는 조직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태아 성별 감별 방지법 등 강력한 법안 마련도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강신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