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北 발사한 미사일에 ‘북극성 2형’ 이름 붙인 이유는

지난해 8월 발사 성공한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과 비슷

북한이 13일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을 통해 공개한 중장거리 탄도미사일 ‘북극성 2형’의 발사 장면 사진.북한이 13일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을 통해 공개한 중장거리 탄도미사일 ‘북극성 2형’의 발사 장면 사진.


북한이 12일 발사한 신형 중장거리 탄도미사일(IRBM)에 ‘북극성 2형’이란 이름을 붙인 이유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조선중앙통신 등 북한 관영매체들은 “우리 식의 새로운 전략무기체계인 지대지 중장거리 전략탄도탄 ‘북극성 2형’의 시험발사가 성공적으로 진행됐다”고 13일 보도했다.


북극성 2형이라는 이름은 지난해 8월 발사에 성공한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 ‘북극성 1형’에서 따온 것으로 보인다. 두 미사일은 공통된 기술을 사용해 발사했다. 그 동안 많이 써온 액체 대신 고체 연료를 사용했고, ‘콜드론칭(미사일이 튀어오른 뒤 공중에서 엔진에 불이 붙어 발사되는 방식)’을 도입한 것 또한 같다. 비행 거리가 약 500km에 달한다는 점도 비슷하다. 조선중앙통신도 “(김정은이) 지난해 8월 전략잠수함 탄도탄(SLBM) 수중시험발사에서 이룩한 성과에 토대하여 이 무기체계를 사거리를 연장한 지상대지상 탄도탄으로 개발할 데 대한 전투적 과업을 제시하였다”고 전했다.

관련기사



향 후 북한이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을 선보일 경우 그 이름이 ‘북극성-3형’이 될 가능성도 커졌다는 게 전문가들의 관측이다. 김동엽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는 “어제 발사한 미사일은 결국 ICBM의 1단 추진체 실험이라고 보면 될 듯하다”며 “이제 북극성이라는 새로운 탄도미사일 라인이 생긴 것일 수 있으며, 북극성 3형은 ICBM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북한은 그 전까지는 미사일에 ‘화성’이라는 이름을 붙여왔다. 대표적인 이름으로 △화성 5(스커드 B, KN-03) △화성 6(스커드 C, KN-04) △화성 7(노동 1호) △화성 10(무수단) △화성 13(KN-08) 등이 있다. 다만, 어떤 이유로 ‘북극성’, ‘화성’ 등의 미사일 이름을 사용하는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정순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