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분사 앞둔 현대重 "생존 위한 유일한 길...경영권 승계와 무관"

오는 27일 주주총회를 열어 분사 안건을 처리할 예정인 현대중공업이 분사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나섰다.

15일 조선업계에 따르면 현대중공업은 이날 사내 소식지를 통해 “사업 분리는 미래를 위한 필수 선택이자 다 같이 살기 위한 유일한 길”이라면서 “(노조가 주장하는) 경영권 승계와는 무관하다”고 강조했다.

현대중공업은 주총에서 조선·해양, 전기·전자, 건설장비, 로봇 등 4개 법인으로 분사하는 안건을 처리한다.


현대중공업은 “전기전자와 건설장비, 로봇 등 조선 외 다른 업종은 조선업에 가려져 필수적인 투자조차 이뤄지지 않았다”며 “세계 1등도 아니면서 세계 1등처럼 지내온 전기전자, 건설장비, 로봇 사업은 경쟁력 확보의 기회조차 갖지 못했다”고 밝혔다. 또 “전기전자의 입찰 제한 처분에 현대중공업 전체가 정부 발주 입찰에 참여할 수 없게 됐고 건설장비 업계가 불황으로 인력 감축 등 뼈를 깎는 구조조정을 하고 있는데 우리 회사 건설장비사업부는 대규모 성과금을 받았다”며 “조선소 특성상 혹서기 2주간 여름휴가를 보내는 게 효율적이지만 열심히 공장을 돌려야 할 전기전자, 건설장비 공장까지 휴가라고 함께 공장문을 닫았다”고 비효율의 사례를 언급했다.

관련기사



지난해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한 현대오일뱅크를 지주사가 되는 현대로보틱스에 넘기는 이유에 대해서는 “차입금 7조3천억원 중 약 27%인 2조원을 현대로보틱스로 배정할 예정인데 이는 현대중공업에 즉시 2조원의 현금이 유입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낸다”며 재무개선 효과를 염두에 둔 것이라고 설명했다.

노조의 “사업 분리는 경영권 승계를 위한 것”이라는 주장에 대해서도 반박했다. 현대중공업은 “사업 분리를 통해 지주회사로 전환, 순환출자 고리를 해소하려는 것”이라면서 “사업분리 및 지주회사 전환은 원칙과 절차에 따라 이뤄지고 있으며, 주주의 지분 이동이 포함되지 않아 경영권 승계와는 무관하다”고 강조했다.

한재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