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산불 자주 발생되는 곳은 어딜까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 GIS 활용 ‘산불다발위험지도’ 제작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은 봄철 산불조심기간을 맞아 첨단정보통신기술을 바탕으로 한 ‘전국 산불다발위험지도’를 제작했다고 15일 밝혔다.

산림과학원은 지리정보시스템(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을 활용해 1991년부터 2015년까지 발생된 1만560건의 산불 위치정보를 지도화한 ‘산불다발위험지도’를 만들었다.


산불다발위험지도에 따르면 남한 국토의 10% 가량이 산불다발위험지역인 것으로 조사됐다.

산불다발위험지역은 4단계로 나뉜다. 1㎢내 산불 발생건수가 0.25건 미만이면 ‘징후 없음’, 0.25건 이상 0.50건 미만은 ‘주의’, 0.50건 이상 0.75건 미만은 ‘경계’, 0.75건 이상은 ‘심각’으로 분류된다.


데이터 분석 결과 남한의 7.73%가 ‘주의’ 단계에 해당됐으고 ‘경계’가 1.19%, ‘심각’이 1.12%의 비율을 차지했다.

관련기사



산불 위험이 잦은 상위 5개 지역은 인천 남동구, 인천 계양구, 부산 남구, 서울 노원구, 울산 동구로 나타났다.

서울을 비롯한 인구밀집지역 광역시와 대도시 생활권, 동해안과 남해안 일부 지역도 산불 위험이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또한 이 지도를 활용하면 산불감시원과 진화인력, 산림헬기 등을 적재적소에 배치할 수 있어 효율적인 산불예방과 신속한 산불진화에 도움이 될 전망이다.

윤호중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방재연구과장은 “기상·지형 등의 영향으로 산불이 발생되는데 산불 피해 지역은 재발 확률이 높다”며 “산불 다발지역에 대한 정보를 미리 파악하면 산불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대전=박희윤기자 hypark@sedaily.com

박희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