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정책·제도

서울시, 올해 공공임대주택 1만 5,000가구 공급

올해 공공임대주택 공급계획, 최근 5년 실적 공개

입주자 특성 고려한 맞춤형 임대주택, 커뮤니티공간 확충 추진

서울시가 올해 9,000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공공임대주택 1만 5,610가구를 공급한다. 청년 창업가, 여성1인가구, 독거노인 등 다양한 입주자 특성을 고려한 수요자 맞춤형 주택 450가구, 특별건축구역으로 지정돼 특화 디자인과 주민편의시설을 갖춘 고덕강일지구 7개 단지의 4,935가구, 옛 정릉 스카이아파트를 철거한 자리의 정릉공공주택지구 170가구 등이 포함돼 있다.


정유승 서울시 주택건축국장은 양천구 신정동의 아파트단지인 신정숲속마을에서 이 같은 내용의 올해 공공임대주택 공급계획과 최근 5년 공공임대주택 공급실적을 15일 공개했다. 560가구 규모 신정숲속마을은 일반분양 140가구를 제외한 나머지 가구가 공공임대주택이며 지난해 8월 완공됐다.

관련기사



서울시는 박원순 시장 취임 이후인 지난 2012년부터 2016년까지 5년 간 3조 6,717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공공임대주택 총 10만 5,770가구를 공급했다. 이 중 실제 입주까지 이뤄진 물량은 8만 101가구다. 공공임대주택 공급 확대에 따라 지난해 서울시의 총 주택(367만 1,213가구) 중 공공임대주택(25만 8,634가구)이 차지하는 비율인 ‘공공임대주택 재고율’은 7%를 넘어섰다.

정 국장은 “과거 임대주택 정책이 물량 공급 중심이었다면, 박원순 시장 임대주택정책의 가장 큰 특징은 다양한 입주자 특성을 고려한 수요자 맞춤형 공급”이라고 강조했다. 서울시는 2012년부터 지난해 12월까지 수요자 맞춤형 임대주택 2,364가구를 공급했다. 또 단순히 주거공간만을 제공하는 방식에서 더 나아가 어린이집, 북카페, 마을회관, 지역자활센터 등 다양한 주민커뮤니티 공간을 임대주택 단지 내에 함께 조성해 임대주택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개선하고 지역주민들과의 자연스러운 상생을 유도하고 있다는 게 서울시의 설명이다.

박경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