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 간 정상회담을 앞두고 이스라엘·팔레스타인의 평화적 공존을 꾀하는 ‘2국가 해법’에 매달리지 않겠다는 입장을 나타내 관심이 쏠린다.
AP통신과 이스라엘 일간 하레츠 등에 따르면 익명의 백악관 고위관리는 기자들에게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간 평화로운 관계가 15일 정상회담의 주요 주제가 되겠지만 어떤 방식으로 평화를 이룰지는 양측이 결정할 문제”라며 “‘2국가 해법’을 목표로 삼지 않겠다”고 언급했다.
이 같은 발언은 ‘2국가 해법 외에는 대안이 없다’는 버락 오바마 전 정부의 입장과는 크게 다른 것이다. 기존 입장은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이 직접대화를 통해 공존하면서 궁극적으로 팔레스타인 독립국가를 창설하는 데 방점이 찍혀 있었다.
뉴욕타임스(NYT)는 ‘2개국 해법’을 고집하지 않겠다는 트럼프 행정부의 방침이 네타냐후 총리가 이끄는 우파 정부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내다봤다. 다만 백악관의 이 같은 구상은 팔레스타인 측 전문자문단과 협의를 거치지 않은 것이어서 지역 내 갈등을 촉발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마이클 플린 국가안보회의(NSC) 보좌관의 사임으로 네타냐후 총리가 ‘이란 압박용’으로 쌓은 백악관 내 친분이 사라지고 트럼프 대통령의 사위인 재러드 쿠슈너 백악관 선임고문이 중동평화의 중재자로 부상하고 있다고 전했다. 팔레스타인해방기구(PLO)의 하난 아슈라위 집행위원은 AFP통신에 “2국가 해법 지지를 철회하는 것은 말이 되지 않는다”며 “책임감 있는 정책도 아니고 평화의 토대도 될 수 없다”며 “그들(미국)이 어떤 대안도 제시하지 않고 그렇게 말해서는 안 된다”고 강력히 비난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이 선거 기간에 공약한 이스라엘 주재 미국 대사관의 예루살렘 이전과 최근 백악관이 반대 입장을 드러낸 이스라엘 정부의 정착촌 추가 건설계획 등도 정상회담의 주요 의제다. 앞서 트럼프는 유엔의 이스라엘 정착촌 건설중단 결의 통과를 비난하면서 “내가 대통령이 되면 달라질 것”이라고 엄포를 놓은 바 있다. 또 친이스라엘 강경파인 데이비드 프리드먼을 주이스라엘 미국대사로 임명하는 한편 주이스라엘 미국대사관을 팔레스타인과 영유권 분쟁이 있는 예루살렘으로 이전하겠다고 밝히는 등 줄곧 이스라엘 편을 들어왔다.
때문에 현재 자국 내에서 극우파의 도전을 강하게 받는 가운데 스스로가 부패혐의에 관련한 최소한 3건의 검찰 조사를 받고 있는 네타냐후 총리는 첫 공화당 대통령인 트럼프과의 정상회담에서 새로운 양국 관계 등 확실한 성과를 가져가겠다는 입장이다. 이 때문에 그는 정상회담 하루 전 워싱턴DC에 미리 도착해 보좌진과 의제에 대한 사전 스터디에 시간을 보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