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VR현실콘텐츠, 유망환경기업 육성 등…20개 일자리과제 선정

정부, 경제관계장관회의 개최

“향후 관보다는 산업계가 주도하는 방식으로 바꿔나갈 것”

자료=고용부자료=고용부


정부가 주요 제조업의 구조조정 본격화와 경기침체 등으로 인한 심각한 고용 부진을 해소하기 위해 가상현실(VR) 콘텐츠산업 육성 등 20개 일자리과제를 중점 추진한다.

또 앞으로는 관에서 산업계로 과제 발굴 주체를 옮겨 일자리 창출 효과를 높여간다는 방침이다.

정부는 16일 경제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총 15개 부처 모두 20개의 과제를 ‘2017년 주요 일자리과제’로 최종 선정했다.


선정된 과제는 문화체육관광부의 ‘가상현실 콘텐츠산업 육성’, 교육부의 ‘특성화고 산업현장중심교육 강화’, 미래창조과학부의 ‘소프트웨어(SW) 신산업 육성’, 농림부의 ‘농식품 분야 창업 활성화’ 등이다.

관련기사



정부는 과제별로 일자리 창출 목표를 포함한 추진계획을 오는 3월까지 수립할 계획이다. 이를 토대로 새로운 일자리 대책을 발표한다. 이후 분기별로 추진계획 준수 여부, 일자리 창출 효과 등을 집중점검할 방침이다.

정부는 또 일자리 창출의 주도 주체를 점진적으로 관에서 산업계로 바꿔나간다. 고용부 관계자는 “앞으로 산업계가 주도적으로 과제를 발굴하고 관리하도록 할 것”이라며 “동일성장·동일투자 환경에서도 산업계가 과제 발굴을 주도하면 양질의 일자리가 더 많이 창출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산업계가 장애요인을 발굴하면 정부가 개선방안 등을 마련하는 것이 한 예다.

이외에도 정부는 산업별 인적자원개발위원회 등을 통해 일자리 창출 애로 요인을 파악하고, 노동연구원 등을 활용해 각 부처의 일자리 창출 컨설팅 지원에도 힘을 쏟는다.

고용부 관계자는 “고용영향평가를 통해 산업별 주요 정책을 고용의 관점에서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관계부처 협의를 통해 개선방안을 끌어내겠다”고 말했다. /세종=임지훈기자 jhlim@sedaily.com

임지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