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한반도 땅의 이야기와 생명의 역사’한눈에

국립중앙과학관 자연사관 개관

자연사관에는 백악기에 살았던 초식공룡인 트리케라톱스 진본 골격 전시 된다. /사진=국립중앙과학관자연사관에는 백악기에 살았던 초식공룡인 트리케라톱스 진본 골격 전시 된다. /사진=국립중앙과학관


한반도에서 형성된 암석과 삼엽충, 공룡, 매머드 등 그 위에서 살아온 생물의 화석을 볼 수 있는 자연사관이 문을 연다.

대전광역시 소재 국립중앙과학관(관장 양성광)은 17일 자연사관을 개관, 일반에 공개한다고 16일 밝혔다.

국립중앙과학관 자연사관은 한반도의 땅덩어리와 그 위에서 생존해 온 생물의 탄생·진화와 함께 생물다양성 위기, 환경오염, 기후변화 등 급속한 지구환경의 변화를 소개하고 미래의 전망을 보여 준다.


전시관은 ‘한반도 땅의 이야기와 생명의 역사’라는 대주제 아래 ‘한반도의 탄생’, ‘적도에 흩어져 있던 한반도’, ‘세 땅덩어리가 부딪쳐 만들어진 한반도’, ‘호랑이 모양의 한반도 완성’, ‘한반도 생물의 다양성’ 등 시간의 흐름에 따라 한반도가 어떻게 변해왔는지 보여 주는 5개 세부주제로 구성돼 있다. 인천광역시 옹진군 이작도에서 발견됐으며 추정 연대가 25억년 전으로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암석인 ‘토날라이트’(tonalite),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생명의 흔적으로 추정되며 인천광역시 옹진군 소청도에서 발굴된 10억년 전의 ‘스트로마톨라이트’(stromatolite), 울산 언양의 자수정 원석 5점 등이 국내 처음으로 선보인다.

관련기사



강원도에서 나온 삼엽충, 완족동물, 식물 등 수백 점의 희귀한 화석과 암석, 다양한 종의 곤충, 식물, 동물 표본이 함께 전시돼 한반도 자연사를 한눈에 살펴볼 수 있다.

또 중생대 후기 백악기 초식공룡 ‘트리케라톱스’의 진본 골격, 1972년 아폴로 17호가 달에서 가져온 ‘월석’(月石), 현생 코끼리의 조상인 매머드의 성체와 새끼 등 국립중앙과학관에 소장된 세계 각지의 동물 박제 및 골격 표본을 통해 세계와 한반도 자연사를 비교해 볼 수도 있다.

양성광 관장은 “국립중앙과학관 자연사관은 국민들이 한반도의 다양한 자연과 생명의 역사를 보고, 한반도 자연사의 정체성을 확립하도록 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문병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