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증강현실 속 캐릭터 실시간 조작기술 개발

-마우스로 옮기듯 가상 객체의 위치, 이동 경로 등을 직관적으로 설정 가능

증강현실 안경을 착용한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이용해 직관적으로 가상 객체를 조작하고 이동경로를 설정해 동적 증강현실 환경을 구성할 수 있다./사진=KAIST증강현실 안경을 착용한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이용해 직관적으로 가상 객체를 조작하고 이동경로를 설정해 동적 증강현실 환경을 구성할 수 있다./사진=KAIST


국내 연구진이 증강현실(AR) 속에 있는 가상 캐릭터의 위치와 이동 경로 등을 스마트폰을 이용해 간편하고 자유롭게 조작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포켓몬 고’에 이 기술을 적용하면, 가상캐릭터가 실제 사물 사이를 현실감 있게 이동하게 할 수 있다.


기존 증강현실을 저작하는 과정은 PC 환경에 특화된 저작 프로그램을 이용하거나 전문적인 프로그래밍 언어로 가상객체를 선택하고 조작해야 해 과정이 복잡하고 비용이 상대적으로 많이 들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KI-ITC 증강현실연구센터 우운택 교수팀은 증강현실 안경을 쓴 채 현실공간에 등장하는 가상객체의 이동 경로를 자체 개발한 앱(App)을 설치한 스마트폰으로 원하는 대로 조작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16일 발표했다.

관련기사



연구팀은 마이크로소프트(MS)의 혼합현실 기반 웨어러블 기기인 홀로렌즈(Hololens)가 부착된 안경형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동, 스마트폰을 3차원 마우스처럼 입력장치로 사용할 수 있게 했다. 연구진은 스마트폰으로 증강현실 속 가상 캐릭터를 컴퓨터의 아이콘 옮기듯 쉽게 조정하고 이동할 수 있으며, 다양한 동적인 증강현실 환경을 현장에서 즉각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 기술을 이용하면 ‘포켓몬 고’에서 가상 캐릭터가 현실공간의 사물 위에 단순히 얹혀 것처럼 보이는 것과 달리 캐릭터가 실제 사물 사이를 이동하는 현실감 있는 증강현실 콘텐츠를 즉각 생산하고 체험하는 게 가능해진다.

우 교수는 “이 기술은 스마트폰만 있으면 누구나 증강현실 콘텐츠를 현장에서 직관적으로 저작할 수 있다”며 “추가로 개발될 증강현실 저작도구를 통해 누구나 포켓몬고처럼 가상 캐릭터와 현실공간이 상호작용하는 환경을 만들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유정민 연구교수가 제1 저자로 참여한 이 연구 결과는 한국 인간-컴퓨터 상호작용 학회(HCI)에서 지난 8일에 시연됐으며 관련 논문은 2017년도 국제 인간-컴퓨터 상호작용 학회(HCI International 2017)에서 발표될 예정이다.

KAIST KI-ITC 증강현실연구센터 우운택 교수./사진=KAISTKAIST KI-ITC 증강현실연구센터 우운택 교수./사진=KAIST


문병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