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드론으로 접근 불가능한 지역 지도 만든다

국토부, 21일 라이브 드론맵 기술 시연회 열어

드론으로 재난 지역이나 군사 지역 등 접근 불가능한 지역의 지도를 구축하는 기술이 개발돼 소개된다.

국토교통부는 오는 21일 한강 드론공원에서 드론을 이용한 실시간 자동지도 구축 기술인 ‘라이브 드론맵 기술’을 테스트하는 시연회를 연다고 20일 밝혔다.

라이브 드론맵 기술은 접근이 불가능한 지역에 드론을 띄워 지도를 구축하고 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기술이다.


이번 시연회에서는 드론을 통해 수집된 위치·영상정보를 3차원 공간정보 포털로 실시간 전송해 촬영된 지역을 한 눈에 확인할 수 있는 과정을 체험할 수 있다. 고정밀 위치센서를 부착한 드론이 지정된 경로를 따라 자동 비행하면서 촬영한 정보를 전송하면 드론 기반 자동지도구출 통합 소프트웨어로 정보를 보정해 공간정보를 생성한다. 이후 정보를 3차원으로 시각화하면 사용자가 지역 상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된다.

관련기사



라이브 드론맵 기술은 국토교통 연구·개발(R&D)로 추진 중인 ‘공간정보 소프트웨어 활용을 위한 오픈소스 가공기술 개발’ 연구의 일부 성과로 국토연구원을 비롯한 8개 기관이 개발에 참여하고 있다. 이 기술은 유엔(UN)에서도 큰 관심을 가지고 있어 오는 4월에는 이탈리아 브린디시의 유엔 물류기지센터에서 유엔 고위급 관계자를 대상으로 시연할 예정이다.

국토교통부 관계자는 “유엔 물류기지센터에서 진행하는 현장 테스트를 통해 우리 기술의 글로벌 인지도를 높이고 외국산 소프트웨어가 독점하는 국내외 공간정보 시장에서 이번에 선보이는 ‘라이브 드론맵 기술’이 경쟁력 있는 대체재로 활용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했다.

/세종=강광우기자 pressk@sedaily.com

강광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