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들어 가장 높은 변동성을 보이고 있는 것은 환율이다. 원·달러 환율이 0.5%이상 움직인 날이 15일인데 비해 종합주가지수가 0.5%이상 움직인 날은 8일에 그쳤다. 주가 변동성보다 환율변동성이 더 높게 나타난 것이다. 그만큼 글로벌 유동성 흐름에 한국은 취약하다.
환율 변동성의 원인은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말과 정책이다. 트럼프가 선거 때부터 위대한 미국을 만들기 위해 내놓은 정책들은 달러를 강세로 만들었다. 그러나 미국의 일자리를 빼앗아 간 것은 중국, 일본, 독일 등이 환율을 조작한 것이라는 공격적인 발언은 달러를 약세로 만들었다. 트럼프의 정책과 트위터를 통한 발언에 따라 글로벌 환율시장이 크게 요동치고 있다.
글로벌 변동성의 진원지는 트럼프이다. 트럼프의 지지율과 각 자산간의 상관관계는 S&P500 72%, 10년물 국채금리 78%, 달러인덱스 62%, WTI 81%의 상관관계를 보였다고 크레딧스위스가 최근 분석했다. 투자전략을 수립할 때 가장 중요하게 주목해야 할 변수는 미국이고 그 중에서도 트럼프의 전략과 발언이라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그렇다면 트럼프의 발언과 정책의 진실은 무엇일까. 결론은 트럼프의 정책은 미국 경제를 정상화 시켜 경제성장률을 높여 달러와 금리를 상승 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이다. 트럼프의 발언은 러스트밸트(미국 내 주요 제조업 지역)의 지지자들에게 희망의 메시지를 보내는 보호무역과 환율전쟁으로 달러를 약세를 만들고 있다는 뜻이 담겨있다. 펀더멘털 입장에서 보면 법인세율 인하, 국경세 조정, 재정확대를 통한 인프라 투자 등은 달러 강세요인이다. 미국 경기 정상화는 미국 정책금리 정상화로 이어져 올해 정책금리를 두 차례 인상 할 수밖에 없다. 장기간 유동성을 공급했던 유럽과 일본의 중앙은행은 유동성 축소에 나설 것으로 예상되나 여전히 낮은 금리 수준을 보여 미국 금리 스프레드 확대로 미국 금리투자 매력이 높다는 점도 달러 강세 요인이다. 미국에 수출하는 각국 기업들을 대상으로 미국에 직접적인 투자를 유도하고 해외자금 본국송환 촉진법 개정을 통해 글로벌 자금유입을 늘리는 것 또한 달러 강세요인이다.
트럼프의 정책은 달러강세를 스스로 말하고 있다. 그러나 아이러니컬하게도 트럼프의 입은 달러 약세를 통해서 수출확대를 이루어 냄으로써 무역적자를 해소하려 한다. 이율배반적인 트럼프의 정책과 말이 변동성을 확대시킨다.
환율변동성이 높아지면 변동성을 무시하고 펀더멘털을 보고 길게 투자해야 한다. 글로벌 전체 경기가 온기를 띄고 있고 각국의 정책금리 정상화가 진행중이라 채권보다는 주식투자가 유리한 상황이다. 주식은 인덱스 보다는 글로벌 성장을 주도할 기업을 선정해서 투자하는 것이 대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