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역대 정권 정무직 공직자 영남지역 출신이 압도적

서울대 행정대학원 포럼

이승만 정부부터 박근혜 정부까지 인구 대비 차관급 이상 정무직 공무원을 가장 많이 배출한 지역은 영남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호남은 김대중·노무현 정부를 제외한 모든 정부에서 상대적으로 인사차별을 받은 것으로 확인됐다.

최성주 경희대 교수와 서울대의 강혜진 박사는 22일 서울 용산구 백범김구기념관에서 서울대 행정대학원 국가리더십연구센터 주최로 열린 ‘모범국가 건설을 위한 공직 인사’ 학술포럼에서 이같이 발표했다. 조사 대상은 역대 정부 차관급 이상 정무직 공무원 3,214명이다.

정무직 공무원 중 영남 출신 비율은 김영삼 정부 때 43.7%로 가장 높았고 김대중 정부부터 감소하다가 노무현 정부 이후에는 36% 이상을 유지하고 있다.


호남 출신 정무직 비율은 김영삼 정부 때 10%대 안팎 수준이다가 김대중 정부 때 30%를 넘어섰고 이후 노무현 정부에서 26.8%, 이명박·박근혜 정부 때는 10%대까지 추락했다.

관련기사



각 지역 출신 정무직 비율을 지역별 인구와 비교하면 대체로 영남은 인구 대비 상대적으로 많은 정무직 자리를 차지한 것으로 집계됐다.

영남 출신 정무직 비율과 영남 지역 인구 비율 간 차이가 가장 컸던 정부는 김영삼 정부(24.28)였고 이어 전두환(21.37)·노태우(19.35)·박정희(9.39)·최규하(8.25) 정부 순이었다.

호남 출신 정무직 비율과 호남 지역 인구 비율 간 차이는 김대중(4.58)·노무현(2.74) 정부 때만 양의 값을 기록했을 뿐 모든 정부에서 마이너스 값을 보이며 인구 대비 정무직이 적게 배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차이는 현 정부 들어 -10.84 수준까지 떨어졌다.

박진용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