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김해 신공항 배후부지, 경제자유구역 지정하자”…복합물류체계 구축을 위한 세미나 개최

물류 Tri-port를 위한 복합물류비즈니스 모델, 지원전략 제안

‘복합물류체계 구축과 BJFEZ의 역할’을 주제로 하는 세미나가 22일 오후 부산 파크하얏트 호텔에서 열렸다. 부산항 신항 북측 배후지구 전경./사진제공=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청‘복합물류체계 구축과 BJFEZ의 역할’을 주제로 하는 세미나가 22일 오후 부산 파크하얏트 호텔에서 열렸다. 부산항 신항 북측 배후지구 전경./사진제공=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청




부산진해 경제자유구역청(청장 진양현, BJFEZ)은 22일 오후 2시30분 부산 파크하얏트 호텔에서 ‘복합물류체계 구축과 BJFEZ의 역할’이라는 주제로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번 세미나는 부산항 신항과 김해신공항의 효율적인 연계로 항만·항공·육상의 트라이포트(Tri-port)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정책을 제언하고 토론하는 자리로 마련됐으며, 부산시와 경남도, 유관기관 관계자 등 100여명이 참석했다.


부산진해 경제자유구역청은 국내외 환경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부산항 신항의 물동량 증가와 김해신공항 확장계획, 제2 신항배후도로 개통 등 최근 급변하는 환경 속에서 글로벌 물류 비전을 제시하는 추진전략을 수립해 이 같은 세미나를 계획했다.

관련기사



이 자리에서 김율성 한국해양대학교 교수는 ‘복합물류체계 구축과 BJFEZ의 역할’이라는 주제발표를 통해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의 물류비전으로 ‘항만·공항·철도가 연계된 글로벌 막힘없는(seamless) 물류체계 실현’을 제안했다. 또 24시간 운항 가능한 김해신공항 운영과 연계 교통망 확충, 대규모 공항물류단지 조성 등 물류 트라이포트 전략을 제시했고, 아울러 관련 산업과 연계한 다양한 부가가치 비즈니스 모델도 제안했다. 특히 복합물류체계 구축을 위해서는 김해신공항 및 항공배후부지를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해 글로벌 물류기업을 유치해야 한다는 필요성을 제기하기도 했다.

이어 송계의 동서대학교 국제물류학과 교수가 좌장을 맡아 허윤수 부산발전연구원 북극연구센터장, 박병주 경남발전연구원 경제산업 연구실장, 박성준 한국해양수산개발원 박사, 강부원 부산항만공사 국제물류사업단장의 토론이 진행됐다. 진양현 청장은 “물류 트라이포트 연계구축을 위해 김해신공항 부지를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할 필요성이 있다는 제안에 대한 후속논의가 이루어져야 한다”며 “복합물류 체계 구축을 위한 여러 정책 제안을 바탕으로 우리나라 물류체계가 한 단계 업그레이드될 수 있도록 경자청의 역할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부산=조원진기자 bscity@sedaily.com

조원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