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스타 영화

[리뷰] ‘싱글라이더’ 슬픔과 좌절까지도 품어내는 생의 소중한 순간들

평생동안 앞만 보고 달리며 돈을 벌고 성공을 하는 일에 모든 것을 걸었던 남자가 있었다. 그 남자는 유일한 삶의 동반자인 가족마저도 미래의 성공을 위한 투자로 영어를 배우라며 호주에 보내고, 스스로 기러기 아빠라는 외로움을 자청하듯 받아들였다. 하지만 그 남자가 그토록 갈망하던 돈과 성공이 어느 날 그를 배신했다.

신예 이주영 감독의 데뷔작 ‘싱글라이더’는 외롭고 슬픈 영화다. 성공만을 바라보고 달려오던 증권사 지점장 재훈(이병헌 분)은 회사가 법정관리에 들어가자 이에 대한 책임을 통감하며 무너져내린다. 평생동안 바라보던 ‘성공’이라는 가치가 무너진 재훈은 그제서야 그의 곁에 응당 있었어야 할 가족의 부재를 뼈저리게 실감하고, 호주에서 살고 있는 아내 수진(공효진 분)과 아들을 찾아 떠난다.

영화 ‘싱글라이더’ / 사진제공 = 워너브라더스 코리아영화 ‘싱글라이더’ / 사진제공 = 워너브라더스 코리아





재훈은 아내와 아들이 살고 있는, 하지만 그에게는 낯선 땅 호주에서 다시 한 번 외로워진다. 아내는 남편의 부재에도 이웃집 남자와 정분을 주고받으며 그녀의 삶을 찾고 있었다. 호주에 가면 아내와 아들이 자신을 받아줄 것이라 생각했지만 이미 그 곳에도 재훈이 들어갈 자리는 없었다.

‘싱글라이더’는 삶에 대한 영화다. 오로지 성공만을 바라보던 한 남자가 삶의 모든 것이라 믿어왔던 가치가 무너져 내렸을 때 마주하는 암담함을 이주영 감독은 지독할 만큼 담담하고 차분하게 그려내기 시작한다.


관조적인 유럽의 예술영화를 보는 것처럼 ‘싱글라이더’는 ‘재훈’이 한국에서 만난 절망감, 그리고 호주에서 느끼는 이방인의 슬픔을 처절하게 그려낸다. 여기에 비슷한 처지의 유학생들에게 2년 동안 워킹 홀리데이를 하며 애써 모은 돈을 모두 빼앗긴 지나(안소희 분)의 이야기가 들어오면서 재훈은 비로소 자신의 삶을 돌아볼 기회를 얻게 된다.

관련기사



솔직히 ‘싱글라이더’는 관객들이 생각하는 ‘재미’라는 기준에서는 기대에 못 미칠 수 있는 영화다. 대사도 거의 없이 아내의 삶을 추적하는 이병헌의 모습은 견디기 힘들 정도로 가슴을 짓누르고, 수진의 삶 역시 재훈의 삶과 비교하면 행복할지 몰라도 사실은 지극히 평범한 삶의 한 조각에 불과하다.

영화 ‘싱글라이더’ / 사진제공 = 워너브라더스 코리아영화 ‘싱글라이더’ / 사진제공 = 워너브라더스 코리아


하지만 이주영 감독은 지독할 정도로 감정을 쌓아가는 이 시간들을 통해 삶을 다시 한 번 깨닫게 만든다. 재훈이 너무나 잔인한 삶의 진실과 마주하게 되는 순간, 이주영 감독은 참고 참아온 재훈의 시간과 고뇌를 격렬한 감정의 파고에 실어서 스크린으로 흘려보낸다. 전혀 전조가 없던 격렬한 파고이기에 관객이 느끼는 격랑의 깊이는 실로 헤아리기 힘들 정도다.

‘싱글라이더’가 이처럼 뛰어난 감정선을 완성할 수 있었던 것은 연기로는 깔 것이 없다는 배우 이병헌의 존재감이 결정적이다. ‘마스터’의 사기꾼 ‘진현필 회장’이나, ‘내부자들’의 조폭 ‘안상구’가 아닌 ‘번지점프를 하다’의 ‘서인우’처럼 이병헌은 영화 내내 이를 악물고 좌절을 견뎌내고, 치미는 눈물과 슬픔을 참아내다가 일순간 이 모든 것을 관객을 향해 흘려보낸다.

우리의 삶이 평범하고 지루한 순간들의 반복이듯, ‘싱글라이더’ 역시 우리의 삶처럼 평범하고도 지루한 순간들을 반복적으로 스크린 위에 펼쳐낸다. 삶이 이 긴 고통의 시간들을 견뎌냄으로서 새로운 순간을 맞이할 수 있듯이, ‘싱글라이더’도 평범하고도 지루한 일상을 참아내고 견뎌내는 순간 말로 형언하기 힘든 격렬한 감정을 관객에게 선사한다. 지루할 수도 있는 97분의 상영시간이지만, 영화가 끝난 후에는 누구도 이 97분이 지루했다고 말할 수 없을 것이다. 2월 22일 개봉.

/서경스타 원호성기자 sestar@sedaily.com

원호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