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장애인·노약자 정상 생활 가능한 의류 개발된다

-ETRI ‘초연결·초지능·초실감’ 기반기술 연구에 360억 투입

-11개 전략중점연구 본격 시작…2022년까지 핵심원천기술력 보유

의류나 무릎 보호대, 밴드를 착용하면 장애인·노약자도 정상 생활이 가능한 기술이 개발된다. 또 노련한 운전자처럼 가보지 않은 길 같은 돌발 상황에서도 능숙하게 운전하는 인공지능 주행판단 기술도 개발된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제4차 산업혁명에 발맞춰 초연결·초지능·초실감을 기반으로 한 11개 전략 중점연구과제를 선정하고 올해 360억 원을 투입한다고 23일 발표했다.


ETRI는 올해부터 ‘심혈관 질환을 위한 인공지능 주치의 기술개발’ 등 11개 기술을 본격 개발하기로 했다. ETRI는 특히 탑다운형 중대형 기술 5개 과제에 215억 원, 우선 추진 단위기술 6개 과제에 145억 원을 투입한다.

이번에 수행하는 전략 중점연구 과제는 제4차 산업혁명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초연결, 초지능, 초실감의 3초(超) 기술에 기반을 둔 기술이라고 ETRI는 설명했다.


ETRI는 먼저 안전하고 스마트한 초연결 인프라 구현을 위해 △초연결 지능 인프라 핵심기술 △메트로 엑세스 네트워크용 200Gbps 광트랜시버 기술 △선제적 주파수 공급을 위한 시공간적 스펙트럼 엔지니어링 기술 등을 개발한다.

관련기사



또 스스로 학습 진화하는 초지능 정보사회 구현을 위해 △심혈관 질환을 위한 인공지능 주치의 기술 △운전자 주행경험 모사기반 일반 도로 상의 자율주행 4단계를 지원하는 주행지능엔진 개발 △양자 광집적회로 원천기술 등을 연구한다.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초실감 서비스를 위해서는 △초실감 테라미디어를 위한 AV부호화 및 LF(Light Field)미디어 원천기술 △초고품질 UHD(UHQ) 전송기술 △스킨트로닉스를 위한 감각 입출력 패널 핵심기술 등을 추진한다.

ETRI는 이외에 △초연결과 초지능이 융합된 기술로 ‘네트워크 기반 자율무인이동체 핵심인프라 기술’과 △초지능과 초실감이 융합된 기술로 ‘신체기능 이상이나 저하를 극복하기 위한 휴먼청각 및 근력증강 원천기술’도 개발할 계획이다.

ETRI는 11개 전략 중점연구개발이 종료되고 개발된 기술들이 상용화되는 2022년경에는 ‘초연결 인프라 구현·초지능 정보사회 구현·초실감 서비스 실현’이라는 기술전략목표를 달성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문병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