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마켓

연준, 금리인상은 언제?...'트럼프 예산안'에 달렸다

지난달 FOMC회의록 공개

"아주 가까운 시일" 인상 논의

美정책 불확실성 탓 결단 미뤄

내달 14일 FOMC회의 직전에

부채해소 등 예산안 제출 예상

금리인상 시계 빨라질 가능성

시장선 3월보다 5월에 무게

도널드 트럼프(왼쪽) 미국 대통령과 스티븐 므누신 미 재무장관이 22일(현지시간) 백악관 루즈벨트룸에서 회의를 열고 연방예산안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워싱턴DC=AFP연합뉴스도널드 트럼프(왼쪽) 미국 대통령과 스티븐 므누신 미 재무장관이 22일(현지시간) 백악관 루즈벨트룸에서 회의를 열고 연방예산안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워싱턴DC=AFP연합뉴스


지난달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취임 이후 열린 첫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아주 가까운(fairly soon) 시일”에 금리를 추가 인상해야 한다는 논의가 오갔다는 사실이 공개됐다. 당시 연준 위원들은 트럼프 정책의 불확실성 등을 이유로 결단을 미뤘지만 다음달 FOMC 직전에 트럼프 행정부가 첫 예산안을 제출하면 정부 정책의 윤곽이 상당 부분 드러나면서 연준의 금리 인상 시계도 빨라질 것으로 예상된다.

22일(현지시간) 연준이 공개한 지난 1월 FOMC 정례회의록에 따르면 ‘많은 참가자들이 아주 가까운 시일에 기준금리를 올리는 것이 적절할 수 있다는 시각’을 보인 것으로 드러났다. ‘앞으로 고용과 물가지표가 현재의 예상 수준과 일치하거나 그보다 양호할 경우 또는 고용 극대화와 정해진 물가상승률 실현이라는 연준의 목표가 초과 달성될 위험이 있을 때’라는 전제조건이 붙기는 했지만 연준 내부에 추가 금리 인상에 관한 매파적 시각이 힘을 얻고 있다는 분위기를 엿볼 수 있다.

다만 회의록은 연준 위원들이 당시 “재정정책을 비롯한 여러 정부 정책의 변화 가능성이 초래할 영향이 (경제) 불확실성을 높인다는 데 대해 동의했다”며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동향이 ‘결단’을 가로막는 요인이 됐음을 시사했다.


이에 따라 연준의 추가 금리 인상 시점을 결정할 주요 변수로 트럼프 행정부의 첫 예산안이 주목되고 있다. 연간 살림살이의 밑그림이 공개되면 트럼프 행정부가 정부부채 해소, 세제개편을 통한 대대적인 감세, 1조달러 규모의 인프라 투자 등 상충할 소지가 큰 주요 공약들 가운데 어디에 우선순위를 둘지 윤곽이 드러날 것이기 때문이다.

관련기사



이와 관련해 AP통신 등은 의회 관계자를 인용, 의회가 정한 예산안 제출 시한이 오는 3월14일이며 트럼프 정부가 다음달 14~15일 열리는 FOMC 직전인 13일에 예산안을 제출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도 “3월 초에서 중순 사이에 예산안을 제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일단 이날 백악관에서 참모들과 연방예산회의를 열고 “모든 부처와 관련기관에 국민 혈세를 마지막 1달러까지 절약하도록 지시할 것”이라며 첫 예산안의 방점이 ‘예산절감’에 찍힐 것임을 공언했다. 그는 특히 “불행하게도 우리가 물려받은 예산은 엉망진창”이라며 오바마케어(ACA·건강보험개혁법) 등 버락 오바마 전 대통령의 주력 정책이 예산삭감의 주요 목표가 될 것임을 예고했다.

한편 블룸버그통신이 집계한 연방기금(FF) 선물에 나타난 3월 금리 인상 확률은 1월 FOMC 직후 32%에서 의사록이 공개된 이날 34%로 소폭 올랐다. 같은 기간에 5월 인상이 이뤄질 확률은 48.6%에서 61.8%로 뛰어 시장은 3월보다 5월 금리 인상 가능성에 무게를 싣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유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