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국산맥주 맛있어질까...내년부터 편의점·마트서 수제맥주 판매

[정부, 투자활성화 대책]

현재 본인 제조장, 맥줏집 등서만 판매 허용→마트 등 소매점도 허용하기로

고구마·호밀·귀리 맥주도 ‘OK’

0415A10 맥주산업


내년부터 편의점, 대형마트 등에서 수제맥주(하우스맥주)를 구매할 수 있는 길이 열린다. 맥주 원료도 귀리, 호밀 등으로 다양화한다.

정부는 27일 11차 무역투자진흥회의를 열고 맥주산업 규제 투자여건 개선을 담은 투자활성화 대책을 발표했다.

지난 2012년 영국의 시사주간 이코노미스트지는 “한국의 맥주가 북한의 대동강맥주보다 맛이 없다”고 보도한 바 있다. 이 후 한국 맥주의 경쟁력 강화 방안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왔고 정부도 관련 규제를 풀어 경쟁력을 키우기로 했다.


가장 눈에 띄는 것은 하우스맥주를 편의점, 할인마트, 슈퍼마켓 등 소매점에서도 팔 수 있게 된 것이다. 그동안 정부는 소규모(발효조 75㎘ 이하) 맥주제조업체는 다양한 세제혜택을 받는데, 소매점 판매까지 허용되면 너무 많은 혜택을 주는 것이라며 자신의 제조장, 영업장에서 최종 소비자에게 판매하거나 타인의 영업장에서만 판매할 수 있게 했다. 하지만 독일 등은 소규모 업체의 소매점 유통을 허용하는 점 등을 들어 관련 규제를 풀기로 했다. 맥주 제조 면허 관련 규제를 재검토해 4·4분기 내로 주세법령 개선방안을 마련할 방침이다.

관련기사



정부는 맥주에 제한된 원료 규제도 풀기로 했다. 현재 엿기름, 밀, 쌀, 보리, 감자만을 맥주 원료로 쓸 수 있지만 앞으로 주류의 품질이나 식품위생에 문제가 없는 한 발아된 맥류, 녹말이 포함된 재료 등을 쓸 수 있도록 주류 원료·첨가물을 확대할 계획이다. 이렇게 되면 귀리·호밀맥주, 고구마·메밀·밤 등이 함유된 맥주도 제조할 수 있게 된다.

대형매장용, 가정용, 주세 면세용으로 분류된 용도구분 표시 의무도 폐지한다. 현재 정부는 탈세나 불법유통을 막으려고 주류 상표에 이 같은 용도구분을 표시하도록 규정했다. 이 때문에 용도를 전환하거나 반품이 발생하면 제조자나 수입업자가 상표를 재부착해야 해 추가 비용이 들었다. 이에 정부는 올해 2·4분기 중으로 국세청의 ‘주류의 상표사용에 관한 고시 개정’을 거쳐 와인, 증류식 소주 등 다품종·소량유통 주류에 대해 용도구분 표시 의무를 폐지하기로 했다.

/세종=이태규기자 classic@sedaily.com

이태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