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활기찬 노후생활을 위해”…부산시, 장·노년 일자리 3만6,000개 만든다.

부산시가 643억원을 들여 3만6,000개에 이르는 장·노년 일자리를 만든다.

부산시는 활기찬 노후생활과 장·노년층의 경제적 자립 지원을 위한 ‘2017년 장·노년일자리 창출 종합계획’을 수립해 본격 추진한다고 27일 밝혔다. 올해 643억원을 투입해 총 3만6,000개의장·노년 일자리 창출을 만든다는 게 골자다. 이는 작년 목표치인 3만3,200개보다 2,800개 늘어난 수치이다.

구체적으로 들여다보면 국비와 연계한 노인 일자리사업으로 총 630억원을 투입해 △노노케어, 취약계층지원, 공공시설 봉사 등 공익형 일자리 2만3,299개 △아파트 택배, 공동작업장, 식품제조 등 시장형 사업 4,201개 △수요처의 요구에 따른 업무능력이 있는 자를 해당 수요처로 연계해 임금을 지급 받을 수 있는 인력파견형 사업 1,400개 등 총 2만8,900여개의 노인 일자리를 발굴·제공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부산시 자체사업 및 민간사업으로 지역의 특색에 맞게 구군 공모형식으로 진행될 부산형 특화일자리에 5억원을 투입해 350개의 일자리를 만든다. 베이비부머 일자리사업을 새롭게 신설해 370여명에 대한 재취업을 지원하는 등 기존 노인 위주에서 장년층까지 지원대상을 확대하고 민간기업과 협약에 의한 재정지원 없는 일자리 1,500개 등도 발굴할 계획이다. 특히 올해는 지난해 자유시장, 평화시장 등에서 처음 시범 실시해 성과를 창출한 전통시장 내 노인 일자리사업을 국제시장 등 10대 대형시장으로 확대해 포장·배송·집화원 등 총 500명의 일자리 창출을 목표로 추진한다.

관련기사



관 주도가 아닌 민간주도의 일자리 창출을 더욱 강화한다. 지난해 12월 전국 최초 시니어 일자리창출 우수기업 인증제를 도입, 만 55세 이상 고용비율 10% 이상 기업을 대상으로 우수기업을 선정해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부산은행, 농협 등 부산의 대표적 민간기업과 시 산하 6개 공사·공단과 협약을 통해 별도의 재정투입 없이 매년 1,500여개의 장노년 일자리 창출에 기여할 수 있도록 민간의 자발적 참여 사회 분위기를 지속해서 조성해 나갈 계획이다. 아울러 보건복지부 산하 노인인력개발원과 협조한 노인 재능 나눔활동, 시니어인턴십사업과 고용노동부 공모사업인 장노년 사회공헌 사업 등 정부시책과 연계한 사업도 추진할 계획이다.

김영환 경제부시장은 “사회·경제적 취약계층인 장애인, 장노년층의 사회참여 확대와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최우선 과제는 이들에게 특화된 양질의 일자리를 제공하는 것”이라며 “올해부터는 기업 등 민간과의 연계체계를 더욱 강화해 취약계층 일자리 창출 시책에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 말했다.

/부산=조원진기자 bscity@sedaily.com

조원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