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생활

대니 마이어 USHG 회장 "한국 쉑쉑버거 매출 글로벌 1위"

기대 이상으로 뉴욕 본점 맛 재현

햄버거 빵 세계 유일하게 한국 생산 허용



“한국의 쉐이크쉑 매장이 기대 이상으로 미국 뉴욕 매장의 맛을 재현하고 있습니다. 한국 매장을 열기 훨씬 전부터 여러 명의 팀원이 한국에서 와서 쉐이크쉑의 비즈니스와 기업문화에 융합되었고, 좋은 파트너를 만난 게 행운이라고 생각합니다”

지난해 진출한 미국 뉴욕의 ‘쉐이크쉑’(Shake Shack) 버거가 국내에서 선풍적 인기를 끈 데 대해 창업자인 대니 마이어(사진) 유니언 스퀘어 호스피탈리티 그룹(USHG) 회장은 27일 서울 쉐이크쉑 청담점에서 기자간담회를 열어 이 같이 밝혔다. 국내 첫 쉐이크쉑 매장인 강남점은 개점 7개월만에 전 세계 120여개 매장 중 매출 1위에 올랐고, 뒤이어 개점한 청담점 역시 글로벌 3위권의 매출을 유지하고 있다. 강남점은 하루 평균 3,000~3,500개의 버거를 판매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오는 4월에는 동대문에도 매장을 연다.


마이어 회장은 한국 내 파트너인 SPC에 대해 6년 전부터 쉐이크쉑의 도입을 위해 대화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특히 허희수 부사장에 대해 “그는 6년 전 뉴욕에서 앉은 자리에서 버거를 3개나 먹었을 정도로 애정을 보였다”며 쉐이크쉑의 가치와 잠재력을 알아본 최고의 파트너라고 치켜세웠다.

관련기사



그는 SPC에 대한 신뢰감의 근거 중 하나로 세계에서 유일하게 쉐이크쉑에 들어가는 빵(번)을 한국에서 직접 생산하도록 허용했다는 점을 들었다. 마이어 회장은 “쉐이크쉑이 중동·터키·러시아·영국·일본에 진출했지만 빵을 현지에서 공급하는 건 한국뿐이며 나머지는 모두 미국 공장에서 공수해 쓴다”고 말했다. 그는 햄버거에서 패티(고기)의 질과 더불어 빵의 품질이 얼마나 받쳐주느냐가 매우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SPC그룹 측은 처음 쉑쉑버거 강남점을 열 때는 미국 현지에서 빵을 수입했지만 현재는 100% 국내 생산으로 해결한다고 설명했다. 업계 한 관계자는 “쉐이크쉑이 이미 진출한 한국과 일본 외에도 중국 등 다른 아시아 국가에도 진출할 텐데 여기에 SPC의 빵을 쓰는 걸 협의 중으로 안다”고 말했다.

한편 마이어 회장은 지난 24일 저녁 입국 후 25·26일 양일간 쉐이크쉑 강남점, 청담점 등 국내 매장을 둘러보고 국내 음식문화 탐방 및 개인 일정 등을 소화한 것으로 알려졌다. SPC 측 관계자는 “마이어 회장은 수행원 한 명 없이 홀로 입국했으며, 한국에 온다는 사실도 2주 전에야 알 수 있었다”고 전했다. 그는 27일 오후 비행기편으로 한국을 떠난다.

박준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