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드론 디자인 출원, 최근 5년 새 20배 증가

드론(무인항공기) 산업이 군사영역에서 민간영역으로 확대되면서 관련 디자인 출원도 최근 5년 새 20배 가량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특허청에 따르면 드론 관련 디자인 출원 건수는 2012년 5건에서 2016년에는 102건으로 5년 사이에 20배 가량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드론 관련 디자인 출원은 2014년까지 한 해 10건에도 미치지 못했으나 2015년 82건으로 급증했고 지난해에 102건을 기록했다. 이는 미국에서 군사용으로 쓰이던 드론이 민간시장으로 확대되고 우리나라에서도 드론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출원 주체별로 살펴보면 최근 5년간 중소기업이 36.4%로 1위, 개인이 29.1%로 2위, 대기업이 22.3%로 중소기업과 개인이 드론 관련 디자인 출원을 주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세계 민간 드론시장에서 20위 내에 한국기업이 없지만 앞으로 대기업들도 본격적으로 드론시장에 투자를 늘릴 경우 이들의 출원도 큰 폭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관련기사



드론은 용도면에서 군사용·산업용·교육용으로 나눌 수 있으며 산업용 드론에서는 카메라가 장착돼 있는 감시·정찰·촬영·측정용과 농약이나 약제 살포용, 그리고 재난대응용 드론이 주로 출원되고 있다.

형태면에서는 회전익, 고정익, 틸트로터형 드론으로 나눌 수 있는데 현재는 회전익 드론이 92.2%로 출원의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최규완 특허청 상표디자인심사국장은 “드론시장은 신 성장산업으로서 현재 중국, 미국 등이 주도하고 있으나 앞으로 우리나라의 참여가 확대되면서 디자인 출원 또한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드론산업이 보다 활성화되고 다양한 주체가 드론에 관심을 가지게 되면 디자인권 등 지재권의 중요성이 갈수록 커질 것으로 내다본다”고 밝혔다.



한동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